국내 이동통신 40주년…"통신의 진화 위해 AI 접목해야"(종합)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연세대서 토론회…"통신, AI 전환 조력자돼야" "AI 윤리·신뢰성도 중요"
출범 40년을 맞은 국내 이동통신이 이제는 인공지능(AI) 전환에 주력해야 할 때라고 정부, 학계, 산업계가 뜻을 모았다.
'AI 시대, ICT가 가야 할 길'이라는 주제로 연세대 바른ICT연구소가 5일 서울 연세대 백양누리 그랜드볼룸에서 개최한 대한민국 이동통신 40주년 기념 토론회의 참석자들은 이동통신의 미래가 AI라는 점에 대부분 공감했다.
창사 40주년을 맞은 SK텔레콤 유영상 사장은 축사에서 "(이동통신) 40년 역사를 뒤로하고 새롭게 직면한 AI 시대엔 마치 전기가 20세기 경제와 일상을 통째로 바꾼 것처럼 AI가 21세기 산업과 생활을 전면적으로 혁신할 것"이라며 "AI 시대에 ICT가 가야 할 길을 제시하고 선도하고 실현할 것"이라고 말했다.
연세대 윤동섭 총장도 축사를 통해 "이동통신은 국가 경제를 이끌어온 ICT 혁명의 대표주자였다"면서 "AI가 이제 산업과 사회 모든 영역에 걸친 패러다임 변화를 촉발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김경만 통신정책관은 '이동통신 40주년 성과와 향후 ICT 정책 방향'이라는 주제 발표에서 통신사들이 디지털 전환을 넘어 AI 기반으로 대한민국 대전환(AX)을 견인해야 한다고 당부했다.
김 정책관은 "6G 글로벌 표준을 선도하고 룰 세팅을 저희가 하는 게 중요하다"며 "AI를 컨트롤하지 못하면 인류가 어떻게 될 것인지 짚어봐야 하는 시점이 됐다.
이제 AI 윤리와 신뢰성 확보가 더 중요시되는 것"이라며 신중한 접근도 주문했다.
또다른 발표자인 건국대 경제학과 권남훈 교수는 "AI 대응은 통신 산업의 영광을 되살리는 데에도 중요하다"면서 "통신 서비스의 진화를 위한 AI의 접목이 당연히 필요하고, AI가 삶을 변화시킬 수 있도록 조력자의 역할을 통신이 해야 한다"고 밝혔다.
권 교수는 "오픈AI나 구글과 대놓고 경쟁하진 않더라도 적어도 적극적 형태의 방어 전략이 필요하다"며 "크게 뒤처지지 않아야 하고, 빅테크들과 틀어질 때를 대비한 대안을 확보하며, 기술 변화를 모니터링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조신 연세대 교수 사회로 이어진 토론회에서 김 정책관과 권 교수 등 6명의 산·학·연 전문가들은 디지털 전환을 넘어 AI 전환을 이루는 것이 필요하다는 데 인식을 같이하고, 규제 완화 등의 정책 지원을 촉구했다.
한편, 통신비 부담 문제에 대해선 발표자들의 견해가 다소 엇갈리는 모습을 보였다.
김 정책관은 통신산업 성장과 국민 편익 사이의 균형점을 고민 중이라면서도 "일반 국민의 시각을 반영해 요금 구조를 바꿔야 한다는 생각을 한 것"이라며 정부가 중저가폰 확대, 중고폰 인증제, 요금제 다양화, 단말기 유통법 폐지 추진에 나선 배경을 설명했다.
반면 권 교수는 "통신요금이 비싸면 (데이터를) 적게 써야 하는데 우리 국민의 통신 소비량이 많다는 점에서 과연 가격만의 문제인지 의문"이라면서 "통신비 불만이 가격이 아닌 총 소비액이라면 요금 인하만으로는 해결할 수 없고 고품질 서비스를 가장 낮은 비용으로 제공하는 진취적 형태로 가야 한다"라고 주장했다.
/연합뉴스
'AI 시대, ICT가 가야 할 길'이라는 주제로 연세대 바른ICT연구소가 5일 서울 연세대 백양누리 그랜드볼룸에서 개최한 대한민국 이동통신 40주년 기념 토론회의 참석자들은 이동통신의 미래가 AI라는 점에 대부분 공감했다.
창사 40주년을 맞은 SK텔레콤 유영상 사장은 축사에서 "(이동통신) 40년 역사를 뒤로하고 새롭게 직면한 AI 시대엔 마치 전기가 20세기 경제와 일상을 통째로 바꾼 것처럼 AI가 21세기 산업과 생활을 전면적으로 혁신할 것"이라며 "AI 시대에 ICT가 가야 할 길을 제시하고 선도하고 실현할 것"이라고 말했다.
연세대 윤동섭 총장도 축사를 통해 "이동통신은 국가 경제를 이끌어온 ICT 혁명의 대표주자였다"면서 "AI가 이제 산업과 사회 모든 영역에 걸친 패러다임 변화를 촉발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김경만 통신정책관은 '이동통신 40주년 성과와 향후 ICT 정책 방향'이라는 주제 발표에서 통신사들이 디지털 전환을 넘어 AI 기반으로 대한민국 대전환(AX)을 견인해야 한다고 당부했다.
김 정책관은 "6G 글로벌 표준을 선도하고 룰 세팅을 저희가 하는 게 중요하다"며 "AI를 컨트롤하지 못하면 인류가 어떻게 될 것인지 짚어봐야 하는 시점이 됐다.
이제 AI 윤리와 신뢰성 확보가 더 중요시되는 것"이라며 신중한 접근도 주문했다.
또다른 발표자인 건국대 경제학과 권남훈 교수는 "AI 대응은 통신 산업의 영광을 되살리는 데에도 중요하다"면서 "통신 서비스의 진화를 위한 AI의 접목이 당연히 필요하고, AI가 삶을 변화시킬 수 있도록 조력자의 역할을 통신이 해야 한다"고 밝혔다.
권 교수는 "오픈AI나 구글과 대놓고 경쟁하진 않더라도 적어도 적극적 형태의 방어 전략이 필요하다"며 "크게 뒤처지지 않아야 하고, 빅테크들과 틀어질 때를 대비한 대안을 확보하며, 기술 변화를 모니터링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조신 연세대 교수 사회로 이어진 토론회에서 김 정책관과 권 교수 등 6명의 산·학·연 전문가들은 디지털 전환을 넘어 AI 전환을 이루는 것이 필요하다는 데 인식을 같이하고, 규제 완화 등의 정책 지원을 촉구했다.
한편, 통신비 부담 문제에 대해선 발표자들의 견해가 다소 엇갈리는 모습을 보였다.
김 정책관은 통신산업 성장과 국민 편익 사이의 균형점을 고민 중이라면서도 "일반 국민의 시각을 반영해 요금 구조를 바꿔야 한다는 생각을 한 것"이라며 정부가 중저가폰 확대, 중고폰 인증제, 요금제 다양화, 단말기 유통법 폐지 추진에 나선 배경을 설명했다.
반면 권 교수는 "통신요금이 비싸면 (데이터를) 적게 써야 하는데 우리 국민의 통신 소비량이 많다는 점에서 과연 가격만의 문제인지 의문"이라면서 "통신비 불만이 가격이 아닌 총 소비액이라면 요금 인하만으로는 해결할 수 없고 고품질 서비스를 가장 낮은 비용으로 제공하는 진취적 형태로 가야 한다"라고 주장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