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순철의 글로벌 북 트렌드] 번아웃 사회의 생존법…갈릴레오의 통찰도 실험실 밖에서 나왔다
현대는 ‘번아웃 사회’다. 현대인은 완전히 소진할 때까지 자신의 에너지와 시간을 소비한다. 좌절감, 무력감, 수면장애에 시달리면서도 과감하게 일에서 손을 떼지 못한다. 마치 올림픽 경기에 출전한 선수들처럼, ‘더 빨리 더 높이 더 멀리’의 자세로 매 순간을 살아간다.

그러다 뭔가 잘못됐다고 느꼈을 때는 이미 너무 늦은 경우가 많다. “아무리 일을 해도 일이 끝나지 않는다”, “아무리 바쁘게 살아도 바쁜 삶은 멈추지 않는다”…. 우리는 어쩌다 이런 말을 입에 달고 살게 됐을까?

최근 영국에서 선풍적인 화제를 모으고 있는 <느린 생산성(Slow Productivity)>은 여러 면에서 분주하게 살아가는 우리의 삶을 되돌아보게 하는 책이다. 알고리즘을 연구하는 컴퓨터공학과 교수이면서 세계적인 베스트셀러 <디지털 미니멀리즘>과 <딥 워크>의 저자인 칼 뉴포트는 이번 책을 통해 혁명적인 철학 ‘느린 생산성’을 제안한다.
[홍순철의 글로벌 북 트렌드] 번아웃 사회의 생존법…갈릴레오의 통찰도 실험실 밖에서 나왔다
느린 생산성은 현대 사회가 마주한 다양한 위기를 해결할 수 있는 유일한 길이다. 뉴포트 교수는 과부하를 피하면서 의미 있는 성취를 가능하게 하는 대안의 길로 독자들을 안내하면서 느린 생산성을 위한 세 가지 원칙을 제시한다.

첫 번째는 ‘적게 일하라’, 두 번째는 ‘자연의 속도에 맞춰라’, 그리고 세 번째는 ‘품질에 집착하라’다. 철학적 깊이가 느껴지고 실용적 조언까지 충실한 이 책에 대한 찬사가 이어지면서 벌써부터 현지 주요 언론은 <느린 생산성>을 ‘올해의 책’으로 거론하고 있다.

책은 ‘바쁨’이 일상이 된 사회에서 우리가 너무 중요한 것을 잃어가고 있다고 지적한다. ‘빠름’을 추구하다가 ‘바름’이 사라진 현실을 비판하면서 생산성에 대한 새로운 정의가 필요하다고 강조한다.

과거 산업사회에서 생산성은 ‘엄청나게 많은 해야 할 일 목록’과 ‘쉴 새 없는 회의와 토론’을 통해 달성 가능한 것이었다. 일에 모든 것을 쏟아붓는 허슬 문화는 스트레스, 번아웃, 우울증, 그리고 각종 정신질환으로 이어졌다.

하지만 뉴포트 교수는 생산성은 원래 그렇게 압박적인 게 아니었다고 소개한다. 갈릴레오, 아이작 뉴턴, 제인 오스틴, 그리고 조지아 오키프 등 세상에 위대한 업적을 남긴 지식인과 예술가들이 일한 방식은 지금과 전혀 달랐다고 강조하면서 전통적인 지식 근로자가 일하던 방식에서 느린 생산성의 핵심 원칙을 찾아낸다. 현대 경쟁 자본주의 사회에서 생산성이라는 단어가 만들어낸 여러 허상과 부조리를 해체하면서 느리고 인간적인 대안을 설계해 소개한다.

1584년 갈릴레오는 피사대학 의대생 시절 성당의 흔들리는 샹들리에를 관찰하면서 진자의 주기에 관한 의미 있는 통찰을 얻었다. 하지만 그가 실험적인 작업을 마무리한 것은 1602년이다. 그사이 갈릴레오는 갑작스러운 부친 사망으로 인해 예기치 않게 물려받은 부채를 정리해야만 했고, 베네치아 공화국의 가장 큰 관심사인 군사 요새에 관한 논문을 작성했다. 아울러 문학과 시를 공부하면서 틈틈이 극장을 찾아 연극을 즐겼다.

[홍순철의 글로벌 북 트렌드] 번아웃 사회의 생존법…갈릴레오의 통찰도 실험실 밖에서 나왔다
갈릴레오는 어딘가에 갇혀서 끊임없이 성과를 추구하지 않았지만, 천천히 다양한 경험을 즐기며 결국 위대한 결과를 만들어냈다. 직업의 세계에 지각변동이 일어나는 요즘 시대에 이 책은 뛰어난 성취를 이루기 위해 개인과 조직이 어떤 방향으로 나아가야 할지 안내한다.

홍순철 BC에이전시 대표·북칼럼니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