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신과 의사·임상심리 전문가·박사급 전문위원 등 '전문가팀' 구성
조희연 서울시교육감 "건강하고 안전한 학교 만들 것" 올해 3월부터 서울 초·중·고교에서 문제 행동 학생의 학급 지도를 돕기 위해 서울시교육청의 '행동 중재 전문가'가 학교를 찾아간다.
자살 시도 등 심각한 정서 위기를 겪는 학생을 위해서는 소아정신과 의사 등 심리 전문가로 구성된 '위기지원단'이 학교로 찾아가 보다 전문적인 상담에 나선다.
14일 조희연 서울시교육감은 서울시교육청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이런 내용을 골자로 한 '교실 속 정서행동 위기학생 지원방안'을 발표했다.
서울시교육청은 2022년부터 학생의 문제행동을 예방하기 위해 특수교육 분야에서 주로 활용했던 '긍정적 행동 지원(PBS) 프로세스'를 일부 학교에 적용해왔다.
'긍정적 행동 지원'은 학생의 문제행동 자체에 초점을 맞추기보다는, 그 원인을 분석해 사전에 문제행동이 발생하지 않게 예방하는 일련의 과정이다.
문제행동 학생은 자해를 한다거나, 주변 친구를 공격하고 물건을 던지는 등 주변의 안전을 위협하거나, 학습활동에 참여를 거부하는 학생 등이 포함된다.
서울시교육청은 긍정적 행동 지원 체계라는 큰 틀 안에서 올해 ▲ 예방 지원 ▲ 전문적 지원 ▲ 개별 지원 등 3단계 심리정서 분야 정책을 마련, 모든 학교에 적용한다.
먼저 문제 행동 학생을 찾기 위해 온라인 상담 창구를 운영하고, 마음건강 진단을 할 수 있는 '마음이지(EASY) 검사'를 각 학교에 배포한다.
'교실 속 문제행동 지도 가이드북' 영상을 만들어 4월 초까지 학교 현장에 보급한다.
학생의 문제행동에 대해 교사들이 대응 방안을 모색하는 교원학습공동체 운영도 추진한다.
문제 행동 학생이 발견되면 서울시교육청 소속 행동 중재 전문가가 교실을 직접 찾아간다.
전문가는 교사의 요구가 있을 경우 3∼5주(수시 지원)나 1학기 등(정기 지원) 정해진 기간에 학생을 관찰하고 학급 내 실행이 가능한 중재 전략을 제공한다.
교사와 함께 학생의 문제가 해결되는지 모니터링도 한다.
행동 중재 전략이란 문제 행동 학생의 동기를 파악하고 이를 예방하기 위해 행동 직전에 나오는 사건과 후속 결과를 바꾸는 것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친구에게 욕을 하는 학생이 있다면 왜 욕을 하는지 파악하고, 만약 친구의 관심을 끌기 위해서 욕을 했다고 진단되면 친구와 놀이를 시작하기 위한 다른 방법을 찾아주는 것이 중재 방안이 될 수 있다.
학교 안에서도 문제를 해결할 힘을 기를 수 있게 교사 대상으로 '행동 중재 전문교사'를, 퇴직교사 대상으로는 '긍정적 행동 지원가'를 양성한다.
문제 행동이 반복되는 학생을 위해서는 정신과 의사 등으로 구성된 '마음건강 전문가'가 학교를 직접 방문해 개별 상담을 지원한다.
전문가는 소아정신과 의사, 정신건강 간호사, 사회복지사, 정신건강 임상심리사 등으로 구성됐다.
전문가 수는 지난해 12명에서 올해 15명으로 확대한다.
전문가는 학생을 심층 평가한 후 필요하다면 병·의원과 연계하며, 치료비도 1인당 100만원까지 지원한다.
학생의 보호자가 원치 않을 경우 병·의원 강제 연계는 불가능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학생의 정서 위기가 계속될 경우에는 '마음건강 전문가 팀'이 학교로 찾아가 학생과 주변인을 상담한다.
이들은 소아정신과 의사, 임상심리 전문가, 고위기 학생 상담 경험이 풍부한 박사급 전문위원으로 구성됐다.
전문가 수는 15명이다.
서울시교육청은 심리정서 고위기 학생, 교사, 고위기 학생 보호자, 해당학생 학급 등 4개의 관리군을 지정하고 이들을 돕는다는 의미에서 이 사업을 '네잎클로버를 찾아가는 위기지원단'이라고 이름 지었다.
조희연 서울시교육감은 "교사, 행동 중재 전문가 등 교육 구성원의 협력을 통한 학생 문제행동 원인을 정확히 파악하고 교육환경을 개선해 학생 한 명 한 명이 건강하고 안전한 환경에서 교육받을 수 있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