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연구원 도민 인식조사
"청년층 일자리 확대 위해 처우 개선 등 필요"
사진=게티이미지뱅크
사진=게티이미지뱅크
직장을 선택할 때 20대는 급여 수준을, 60대는 출퇴근 거리와 교통 접근성을 각각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경기연구원은 지난 8월 경기도민 1천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인식조사를 토대로 '경기도 청년층과 고령층, 일자리에 대한 시각차' 보고서를 28일 발간했다.
"직장 선택 시 20대는 급여·60대는 출퇴근 거리 가장 우선"
조사 결과 청년층은 급여와 복지 등 처우 개선을 가장 중요하게 인식하고 있다.

20대 응답자(168명)의 경우 직장 선택 시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요인으로 급여 수준(43.5%)을 출퇴근 거리 및 교통 접근성(19.0%)보다 2배 이상 많이 선택했다.

직장에서 겪는 가장 큰 어려움으로는 불만족스러운 처우(35.9%)가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했으며, 워라밸 확보의 어려움(26.9%), 높은 업무강도(15.4%), 인간관계 어려움(10.3%) 등이 뒤를 이었다.

20대는 중소기업 인력난의 가장 큰 원인으로는 대기업과의 급여수준 격차(33.9%), 워라밸 보장이 어려운 과도한 근무시간(25.6%), 과도한 업무 요구(12.5%) 순으로 꼽았다.

또한 현재 근로를 전혀 하지 않으면서 구직 준비 중인 청년은 응답자의 22.0%로, 도내 청년 5명 중 1명은 일을 하지 않고 구직에 전념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60대는 20대와는 달리 직장 선택 시 급여 수준보다 교통 접근성과 고용 안정성을 상대적으로 더 중시하는 경향을 보였다.
"직장 선택 시 20대는 급여·60대는 출퇴근 거리 가장 우선"
60대 응답자(165명)의 경우 직장 선택 시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요인으로 출퇴근 거리 및 교통 접근성(26.7%), 고용안정성(25.5%), 급여 수준(16.4%) 순으로 들었다.

60대의 63.6%는 앞으로 근로하기를 원하며, 희망 근로 연령은 평균 70세로 보고 있다.

계속 근로하고 싶어 하는 이유로는 생계유지 및 생활비 보탬(35.2%), 사회생활 유지나 소속감 충족(34.5%), 일하는 즐거움(26.1%) 등을 꼽았다.

구직 과정에서의 어려움으로는 노인 기피 현상(42.4%), 안정적 일자리 부족(29.7%), 낮은 급여 수준(13.9%), 단순 반복적 직무(12.7%) 등이라고 응답했다.

박진아 경기연구원 연구위원은 "청년층이 원하는 좋은 일자리를 확대하려면 워케이션(workation), 원격근무, 개인별 성과 인센티브, 일과 삶의 균형 확보 등 처우를 개선하고 복리 후생을 강화해야 한다"며 "고령층의 경력과 사회적 경험을 살리는 경력형 노인 일자리와 저숙련·저학력 고령층을 위한 복지형 노인 일자리 모두를 확대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