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9년부터 5회 연속 CES 참가…비즈니스 모델 혁신 방향성 소개

SKC가 내달 9∼12일(현지시간)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열리는 세계 최대 가전·IT 전시회 'CES 2024'에서 이차전지와 반도체, 친환경 분야의 소재 기술을 선보인다고 27일 밝혔다.

SKC, CES서 이차전지·반도체·친환경 소재기술 선보인다
SKC는 이번 CES 2024에서 SK그룹 7개 계열사가 공동 운영하는 전시관 'SK원더랜드' 곳곳에서 주력 제품과 기술을 소개한다.

SK원더랜드는 기후 위기가 사라진 '넷 제로(Net zero) 세상'에서 느낄 수 있는 행복을 테마파크 형식으로 풀어내 체험할 수 있도록 한 전시관이다.

SK원더랜드에 입장할 때 받는 가이드맵은 일반 종이가 아닌 SKC의 '생분해 라이멕스' 소재로 만들어졌다.

생분해 라이멕스는 '썩는 플라스틱' 소재인 PBAT와 자연에 무해한 석회석 기반의 라이멕스를 결합해 만든 친환경 신소재다.

SKC는 2021년 라이멕스 기술을 보유한 일본 TBM과 합작사 SK티비엠지오스톤을 설립한 후 생분해 라이멕스 소재 상업화를 준비 중이다.

'로봇팔'에 매달린 자동차가 춤을 추듯이 화면 앞에서 움직이며 SK그룹의 친환경 전기차 기술을 소개하는 '댄싱카' 구역에서는 이차전지 핵심 소재인 동박, 전기차의 충전 시간을 대폭 줄일 수 있는 실리콘 음극재가 소개된다.

SKC는 지난 10월 SK넥실리스 말레이시아 코타키나발루 신공장의 첫 출하를 토대로 동박 사업의 본격적인 글로벌 확장을 시작했으며, 내년 초 고품질 실리콘 음극재 시범 생산에 돌입할 계획이다.

인공지능(AI)으로 운세를 볼 수 있는 'AI 포춘 텔러' 구역에서는 고성능 컴퓨팅용 반도체 글라스 기판에 대한 정보를 얻을 수 있다.

SKC는 2019년부터 5회 연속(2021년 미개최) CES에 참가하며 비즈니스모델(BM) 혁신의 방향성과 신기술을 글로벌 시장에 소개하고 있다.

첫 참가인 2019년에는 필름 사업 위주로 전시했으며, 이후 BM 혁신의 방향에 따라 동박, 글라스 기판, 생분해 소재 등으로 전시 내용도 변화해왔다.

SKC 관계자는 "CES 2024의 랜드마크가 될 'SK원더랜드'를 통해 이차전지와 반도체, 친환경 분야의 ESG(환경·사회·지배구조) 소재 솔루션을 글로벌 시장에 선보일 계획"이라며 "SKC는 꾸준한 기술 개발로 부가가치를 높이고 새로운 사업을 발굴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