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은 "물가상승률 하락 속도 더딜 것…내년 하반기 2.3%"(종합)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유가·식량가격 상승, 비용 압력, 공공요금 인상 등 잠재 위험요인"
이창용 총재 "연준 내년 금리인하 가능성 커져…환율·자본이동 제약 풀려" 한국은행은 20일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12월 중 전월(3.3%)과 비슷하거나 소폭 낮아진 뒤 추세적으로 둔화하며 내년 연말로 갈수록 2% 부근에 근접할 것"이라고 밝혔다.
한은은 이날 '물가안정목표 운영상황 점검' 보고서에서 향후 물가 경로에 대해 "유가·농산물 가격 하락으로 11월 중 상당폭 둔화(10월 3.8%→11월 3.3%)했지만, 이처럼 빠른 하락이 이어지기는 어려울 것"이라며 이런 전망을 내놨다.
구체적으로는 내년 상·하반기, 2015년 상반기 소비자물가 상승률(전년동기대비) 전망치를 각 3.0%(근원물가 2.6%), 2.3%(2.1%), 2.1%(2.0%)로 제시했다.
물가의 상방 위험 요인으로는 국제유가 재상승과 기상이변에 따른 국제 식량 가격 인상, 비용압력의 파급영향 등이 꼽혔다.
비(非)OPEC(석유수출국기구) 주요 산유국들의 협의체인 OPEC+의 추가 감산과 지정학적 정세 불안 등으로 유가가 다시 오르거나 기상 악화로 일부 농산물 가격이 높은 수준을 유지하면 물가 상승률 둔화 흐름이 더디게 진행될 수 있다는 게 한은 분석이다.
누적된 비용 압력 탓에 주류, 대중교통요금, 여행·숙박을 비롯한 개인서비스 등 근원상품 가격(에너지·식료품 제외) 오름세의 둔화 흐름이 주요국보다 뚜렷하지 않은 점도 인플레이션(물가 상승) 위험 요인으로 지목됐다.
아울러 한은은 보고서에서 "정부 정책 측면에서 전기·도시가스 요금의 점진적 인상, 유류세 인하 폭 축소 등도 내년 물가 둔화 흐름을 다소 늦추는 요인으로 작용할 가능성이 있다"고 덧붙였다.
이창용 한은 총재도 모두 발언에서 "금리 인상 영향이 지속되면서 물가 둔화 흐름이 이어질 것으로 보이지만, 여전히 물가 오름세가 목표 수준을 크게 웃돌아 인플레이션에 대한 긴장을 늦추기 어렵다"며 "국제유가 등 원자재 가격 관련 불확실성이 크고 노동비용도 여전히 높은 점을 감안할 때 인플레이션을 목표 수준으로 되돌리기 위한 라스트 마일(last mile;목표에 이르기 직전 최종 구간)이 쉽지 않을 수도 있다"고 경고했다.
미국 연방준비제도(연준·Fed)의 금리 인하에 대한 시장 기대와 관련해서는 "금리 인하를 논의한 사실이 있다는 파월 연준 의장의 말이 예상을 크게 벗어나 입장이 변한 것이라고 생각하지 않는다"며 "본격적 인하 논의를 시사하는 것이 아닐 수도 있기 때문에 시장이 과잉 반응하는지 더 지켜봐야 한다"고 말했다.
하지만 이 총재는 동시에 "연준이 내년 중 금리를 인하할 가능성이 커진 것은 사실"이라며 "미국이 더 이상 금리를 확실히 올리는 것은 아니라는 기대 때문에 국제 금융시장이 안정됐고, (우리나라도) 환율과 자본이동 등의 (통화정책 결정의) 제약 조건이 풀려 국내 요인을 봐가며 통화정책을 펼 수 있게 됐다"고 긍정적 평가도 덧붙였다.
물가안정목표 운영상황 점검 보고서는 정기적으로 한은이 물가 상황을 살펴 그 결과를 국민에게 알리기 위해 작성한다.
해마다 6월과 12월 두 차례 발간되고 한은 총재가 직접 기자간담회를 통해 내용을 설명한다.
/연합뉴스
이창용 총재 "연준 내년 금리인하 가능성 커져…환율·자본이동 제약 풀려" 한국은행은 20일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12월 중 전월(3.3%)과 비슷하거나 소폭 낮아진 뒤 추세적으로 둔화하며 내년 연말로 갈수록 2% 부근에 근접할 것"이라고 밝혔다.
한은은 이날 '물가안정목표 운영상황 점검' 보고서에서 향후 물가 경로에 대해 "유가·농산물 가격 하락으로 11월 중 상당폭 둔화(10월 3.8%→11월 3.3%)했지만, 이처럼 빠른 하락이 이어지기는 어려울 것"이라며 이런 전망을 내놨다.
구체적으로는 내년 상·하반기, 2015년 상반기 소비자물가 상승률(전년동기대비) 전망치를 각 3.0%(근원물가 2.6%), 2.3%(2.1%), 2.1%(2.0%)로 제시했다.
물가의 상방 위험 요인으로는 국제유가 재상승과 기상이변에 따른 국제 식량 가격 인상, 비용압력의 파급영향 등이 꼽혔다.
비(非)OPEC(석유수출국기구) 주요 산유국들의 협의체인 OPEC+의 추가 감산과 지정학적 정세 불안 등으로 유가가 다시 오르거나 기상 악화로 일부 농산물 가격이 높은 수준을 유지하면 물가 상승률 둔화 흐름이 더디게 진행될 수 있다는 게 한은 분석이다.
누적된 비용 압력 탓에 주류, 대중교통요금, 여행·숙박을 비롯한 개인서비스 등 근원상품 가격(에너지·식료품 제외) 오름세의 둔화 흐름이 주요국보다 뚜렷하지 않은 점도 인플레이션(물가 상승) 위험 요인으로 지목됐다.
아울러 한은은 보고서에서 "정부 정책 측면에서 전기·도시가스 요금의 점진적 인상, 유류세 인하 폭 축소 등도 내년 물가 둔화 흐름을 다소 늦추는 요인으로 작용할 가능성이 있다"고 덧붙였다.
이창용 한은 총재도 모두 발언에서 "금리 인상 영향이 지속되면서 물가 둔화 흐름이 이어질 것으로 보이지만, 여전히 물가 오름세가 목표 수준을 크게 웃돌아 인플레이션에 대한 긴장을 늦추기 어렵다"며 "국제유가 등 원자재 가격 관련 불확실성이 크고 노동비용도 여전히 높은 점을 감안할 때 인플레이션을 목표 수준으로 되돌리기 위한 라스트 마일(last mile;목표에 이르기 직전 최종 구간)이 쉽지 않을 수도 있다"고 경고했다.
미국 연방준비제도(연준·Fed)의 금리 인하에 대한 시장 기대와 관련해서는 "금리 인하를 논의한 사실이 있다는 파월 연준 의장의 말이 예상을 크게 벗어나 입장이 변한 것이라고 생각하지 않는다"며 "본격적 인하 논의를 시사하는 것이 아닐 수도 있기 때문에 시장이 과잉 반응하는지 더 지켜봐야 한다"고 말했다.
하지만 이 총재는 동시에 "연준이 내년 중 금리를 인하할 가능성이 커진 것은 사실"이라며 "미국이 더 이상 금리를 확실히 올리는 것은 아니라는 기대 때문에 국제 금융시장이 안정됐고, (우리나라도) 환율과 자본이동 등의 (통화정책 결정의) 제약 조건이 풀려 국내 요인을 봐가며 통화정책을 펼 수 있게 됐다"고 긍정적 평가도 덧붙였다.
물가안정목표 운영상황 점검 보고서는 정기적으로 한은이 물가 상황을 살펴 그 결과를 국민에게 알리기 위해 작성한다.
해마다 6월과 12월 두 차례 발간되고 한은 총재가 직접 기자간담회를 통해 내용을 설명한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