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월 평균기온 1도 올라가면 귀제비 닷새 빨리 온다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국립공원연구원 조류연구센터 조사…제비도 0.5일 빨라져
봄철 평균기온이 1도 높아지면 봄을 알리는 여름철새 제비와 귀제비가 한국을 찾는 시기가 각각 0.5일과 닷새 빨라진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17일 국립공원연구원 조류연구센터에 따르면 2007∼2021년 흑산도에서 실시한 정기모니터링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제비가 우리나라로 오는 날짜(도래일)와 봄철 평균기온 사이에 음(-)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기간 제비 첫 도래일은 3월 17일(±6.7일), 평균 도래일은 4월 25일(±4.8일)이었다.
2007∼2021년 흑산도 3월 평균기온과 4월 평균기온은 각각 5.3∼9.0도와 8.9∼12.8도를 기록했는데, 첫 도래일은 3월 평균기온이 1도 높아지면 1.6일 빨라지고 평균 도래일은 4월 평균기온이 1도 오르면 0.5일 빨라졌다.
제비와 친척인 귀제비도 마찬가지였다.
같은 기간 귀제비 첫 도래일과 평균 도래일은 각각 4월 6일(±9.0일)과 5월 13일(±9.0일)이었는데, 첫 도래일은 4월 평균기온이 1도 오르면 2.1일 빨라지고 평균 도래일은 5월 평균기온이 1도 높아지면 4.8일 빨라지는 것으로 확인됐다.
다만 연구진은 제비 도래일과 봄철 평균기온 간 정확한 상관관계를 파악하려면 보다 장기적인 관찰과 연구가 필요하다고 짚었다.
연구진은 "향후 분석에서는 기온·강수량·풍속·서식지 변화 등을 다각적으로 고려해야 할 것"이라면서 "장기 모니터링뿐 아니라 서식환경과 먹이자원에 대한 지속적인 보호·관리가 필요하다"라고 강조했다.
검은 머리·등과 흰 배에 적갈색 턱수염을 기르는 제비는 여름철새다.
귀제비는 배에 세로로 긴 줄무늬가 있어 구별된다.
제비는 귀소성이 강하고 주로 날벌레를 먹는다는 점에서 환경에 영향을 크게 받는다.
이런 이유로 기후변화 생물지표종으로도 지정돼 있다.
1980년까지는 참새만큼이나 흔했지만, 지금은 개체수가 100분의 1 수준으로 줄었다.
국립생물자원관 조사에서도 제비 개체수가 1년에 6.4%씩 감소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합뉴스
17일 국립공원연구원 조류연구센터에 따르면 2007∼2021년 흑산도에서 실시한 정기모니터링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제비가 우리나라로 오는 날짜(도래일)와 봄철 평균기온 사이에 음(-)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기간 제비 첫 도래일은 3월 17일(±6.7일), 평균 도래일은 4월 25일(±4.8일)이었다.
2007∼2021년 흑산도 3월 평균기온과 4월 평균기온은 각각 5.3∼9.0도와 8.9∼12.8도를 기록했는데, 첫 도래일은 3월 평균기온이 1도 높아지면 1.6일 빨라지고 평균 도래일은 4월 평균기온이 1도 오르면 0.5일 빨라졌다.
제비와 친척인 귀제비도 마찬가지였다.
같은 기간 귀제비 첫 도래일과 평균 도래일은 각각 4월 6일(±9.0일)과 5월 13일(±9.0일)이었는데, 첫 도래일은 4월 평균기온이 1도 오르면 2.1일 빨라지고 평균 도래일은 5월 평균기온이 1도 높아지면 4.8일 빨라지는 것으로 확인됐다.
다만 연구진은 제비 도래일과 봄철 평균기온 간 정확한 상관관계를 파악하려면 보다 장기적인 관찰과 연구가 필요하다고 짚었다.
연구진은 "향후 분석에서는 기온·강수량·풍속·서식지 변화 등을 다각적으로 고려해야 할 것"이라면서 "장기 모니터링뿐 아니라 서식환경과 먹이자원에 대한 지속적인 보호·관리가 필요하다"라고 강조했다.
검은 머리·등과 흰 배에 적갈색 턱수염을 기르는 제비는 여름철새다.
귀제비는 배에 세로로 긴 줄무늬가 있어 구별된다.
제비는 귀소성이 강하고 주로 날벌레를 먹는다는 점에서 환경에 영향을 크게 받는다.
이런 이유로 기후변화 생물지표종으로도 지정돼 있다.
1980년까지는 참새만큼이나 흔했지만, 지금은 개체수가 100분의 1 수준으로 줄었다.
국립생물자원관 조사에서도 제비 개체수가 1년에 6.4%씩 감소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