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게티이미지뱅크
사진=게티이미지뱅크
한 식품기업 구매부서에선 지난주 긴급회의가 열렸다. 코코아, 커피 등 주요 원재료의 국제 가격이 예상을 뛰어넘는 급등세를 보임에 따라 내년 사업계획을 재검토하기 위해서다.

글로벌 경기둔화 등의 요인으로 원유 등 주요 원자재값이 조정 양상을 보이고 있지만, 연성 원자재(소프트 커머디티)라고 불리는 농산물은 사정이 다르다. 지난여름 전 세계를 강타한 폭우·폭염 등 이상기후가 겨울까지 악영향을 미쳐 여전히 글로벌 시장에서 두더지처럼 튀어 오르고 있다.

○ 코코아 선물가격 46년만 최고치

이번엔 '코코아 쇼크'…잡히지 않는 애그플레이션 [하수정의 티타임]
13일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aT) 식품산업통계정보에 따르면 초콜릿 원재료인 코코아 선물(뉴욕ICE거래소 기준)의 12월 평균 가격은 t당 4322.5달러로 전년 동월 대비 71.8% 급등했다. 1977년 이후 46년 만의 최고가 기록이다.

코코아 가격이 천정부지로 치솟는 건 기상이변에 따른 생산량 급감 때문이다. 전 세계 코코아 생산의 75%를 차지하는 코트디부아르와 가나에 올해 폭우가 덮친 바람에 병충해가 확산했다.

인스턴트·가공식품에 사용되는 로부스터 커피와 오렌지 주스 선물가격도 각각 올해 6월, 11월에 역대 최고치를 찍으며 고공행진하고 있다. 산지에서 발생한 가뭄과 허리케인 등 이상기후발(發) 작황 부진에 최악의 공급난이 발생한 영향이다.

이들 재료를 수입하는 국내 식품기업들은 환율 상승까지 겹쳐 생산원가 부담이 치솟고 있는데도 제품 가격에 손을 대기 어려워 초비상이 걸렸다. 카카오를 원재료를 활용하는 빵, 과자, 아이스크림 등이 모두 정부의 물가관리 대상이기 때문이다.

전문가들은 내년에도 먹거리 가격이 쉽사리 안정되지 않을 것이란 전망을 하고 있다. 장경석 KB금융지주 경영연구소 연구위원은 "적도 인근 해수면 기온이 상승해 올해 세계 각지에서 기상이변을 일으킨 엘니뇨의 영향이 내년까지 이어지고 라니냐(해수면 기온 하강에 따른 이상 현상)도 뒤따를 수 있다"며 “내년에도 애그플레이션이 이어질 것”이라고 관측했다.

○ 오렌지주스 ·커피도 고공행진

내년부터는 누그러질 것으로 예측됐던 애그플레이션(농산물+인플레이션)이 예상을 깨고 장기화할 조짐을 보이고 있다.

국제 선물 시장에서 연성 원자재(소프트 커머디티)로 불리는 커피, 카카오, 오렌지주스 등이 고공행진을 이어가는 게 대표적인 사례다. 연성 원자재만을 추종하는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GSCI 소프트 지수의 지난 1년간 상승률은 12.1%에 이른다. 2020년에 비해선 42.3% 뛰어올랐다. 이는 원유 등 대다수 경성 원자재(하드 커머디티)들이 경기부진으로 조정을 받는 것과 상반된 흐름이다.

연성 원자재는 광물처럼 채굴하거나 추출하는 경성 원자재와 달리 재배를 통해 생산하는 원자재를 말한다. 면화, 농산물, 가축 등이 포함된다. 연성 원자재 선물은 미래 농축산물 가격을 가늠하는 지표로 활용된다.

코로나19와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이 촉발한 물류대란 등으로 2021~2022년 본격화했던 애그플레이션은 올해 전 세계적 기상이변까지 겹쳐 연말에도 품목별로 상승 랠리가 이어지고 있다. 국제 선물시장에서 소맥, 옥수수 등 곡물→설탕→ 코코아 등으로 투기세력이 옮겨 붙은 것도 영향을 미쳤다.

○ 해외에선 초콜릿 제품 가격 줄인상

코코아, 설탕 등 원재료 가격이 상승하자 허쉬, 네슬레, 몬델리즈 등 해외 메이저 식품기업들은 초콜릿을 포함한 제품 가격을 단계적으로 인상하고 있다.

국내 기업들은 정부와 정치권의 눈치만 보면서 전전긍긍 하는 실정이다. 이에 따라 내년 4월 총선 이후에는 억눌렀던 가격이 폭발할 것이란 우려도 있다. 지금 비싼 가격에 거래한 원자재는 3~6개월 후인 총선 무렵에 한국에 들어온다.

제과업체 관계자는 “최근 2년간 코코아 구매가격이 30% 가량 올랐는데, 최근 선물 가격과 환율 추이대로라면 내년 코코아 조달비용은 올해의 두 배로 뛸 수 있다”며 “주주와 직원이 있는 기업이 원가 상승분을 언제까지고 감내할 수는 없는 만큼, 내년 4월 총선이후 대응에 나서는 기업들이 많을 것”이라고 했다.

○ 이상기후 악화 가능성…내년 식량가격 최대 변수

국내 농산물 역시 이상 기후 영향으로 가격이 급등하는 품목이 속출하고 있다. '국민과일'로 꼽히는 사과가 대표적이다. 서울시농수산식품공사에 따르면 15일 가락시장에서 도매로 거래된 사과(부사, 특)는 10㎏짜리 한 상자가 평균 12만4490원으로, 전년동일(4만7485원) 대비 무려162.2% 비싸다. 4~6월 이상저온으로 냉해와 우박 피해가 심했고 여름엔 긴 장마로 인해 수확기 생산량이 급감한 영향이다.

11월 소비자물가 상승률(전년동월비)은 3.3%로 4개월 만에 상승세가 꺾였다. 하지만 과일·채소 등 농산물 물가는 2년 6개월 만에 가장 높은 수준으로 치솟아 1년 전보다 13.6% 올랐다.

네덜란드 농업은행 라보뱅크는 올 한해 생산이 늘어난 옥수수, 대두, 설탕 등의 가격이 내년에 안정될 것으로 전망하기는 했지만, 이상 기후로 인한 돌발 변수로 내년 국제 식량가격이 다시 들썩거릴 가능성이 제기된다.

세계기상기구(WMO)는 올여름 시작된 엘니뇨가 내년 4월까지 계속된 뒤 라니냐가 바통을 이어받을 공산이 큰 만큼 기상 이변에 대비해야 한다고 경고했다.

하수정 기자 agatha77@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