찰스3세, 尹과 만찬서 강남스타일 농담…건배사는 '위하여'
찰스 3세 영국 국왕이 국빈으로 초청한 윤석열 대통령과 버킹엄궁에서 만찬을 하며 가수 싸이의 히트곡 '강남스타일'과 관련한 농담을 던졌다.

21일(현지시간) 일간 텔레그래프 등에 따르면 찰스 3세는 이날 만찬에서 윤 대통령 내외를 비롯한 내빈 17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한 연설에서 "안타깝게도 내가 몇십년 전 서울에 갔었을 때 내가 강남스타일이라고 불릴만한 것을 제대로 개발했는지 잘 모르겠다"라고 농담했다.

찰스 3세는 왕세자이던 1992년 11월 다이애나 당시 세자빈과 함께 방한했다. 영국 왕실 인사로서 첫 공식 한국 방문이었다. 그의 '강남스타일' 농담이 내빈 사이에서 웃음을 자아냈다고 텔레그래프는 전했다.

찰스 3세는 특히 이날 만찬에서 "영국에 오신 것을 환영합니다"라고 한국어로 환영 인사를 한 데 이어 연설을 마무리하며 양국 관계의 향후 140년을 위한 건배를 제안하며 한국어로 "위하여"라고 건배사를 했다고 데일리메일이 보도했다.

보도에 따르면 찰스 3세는 또 연설에서 양국의 동반자 관계(partnership)를 한국어 '정'(jeong)으로 표현하기도 했다. 그는 수십년간 쌓아온 긴밀한 개인적 관계가 오늘날 많은 수준에서 양국 사회 사이의 진정한 애정, 즉 정(jeong)으로 꽃피운 동반자 관계라고 했다.

찰스 3세는 이날 연설에서 한국 문화와 경제 발전에 찬사를 보냈다.

그는 "전쟁의 폐허 속에서도 한국인들은 기적을 만들어냈다"며 "냉장고와 평면 스크린에서 스마트폰과 반도체에 이르기까지 내가 30년 전 서울에서 엿본 산업 효율성 모델이 오늘날 기술 창의성의 전형이 되었다는 것은 분명하다"고 했다.

그러면서 "하지만 영국의 문화 지형에서 한국 입지를 가장 극적으로 변화시킨 건 아마도 예술적 창의성일 것"이라면서 특히 한국 문화의 창의성을 높이 평가했다.

한국 문화의 우수성의 일례로 세종대왕을 언급하기도 했다. 찰스 3세는 "우리 문화는 이른바 소프트 파워를 공유된 슈퍼파워로 바꾸며 전 세계의 상상력을 사로잡는 놀라운 능력을 공유하고 있다"면서 "하지만 나는 세종대왕의 발자취를 따라 완전히 새로운 알파벳을 만들지는 못할 것 같다"고 했다.

윤 대통령은 찰스 3세 국왕이 지난 5월 대관식 후 초청한 첫 번째 국빈이다.

(사진=연합뉴스)


이휘경기자 ddehg@wowtv.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