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축 전염병과 전쟁 중인데' 강원 수의직 공무원 태부족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18개 시군 확보율 37.5%…업무 급증·반려동물 민원으로 공직 기피
"사기 진작 대책 및 현실과 동떨어진 관련 법률 정비 시급" 최근 럼피스킨 등 가축 전염병이 끊이지 않는 가운데 강원 지방자치단체들이 수의직 공무원을 확보하는 데 어려움을 겪고 있다.
19일 강원도에 따르면 18개 시군의 수의직 정원은 40명이지만 현원은 15명에 불과해 25명이 부족한 상태다.
도내 지자체 중 정원을 확보한 곳은 횡성군(2명)과 양양군(1명) 등 2개 지자체뿐이다.
태백시, 속초시, 홍천군, 평창군, 정선군, 철원군, 화천군 등 7개 지자체는 수의직 공무원을 한 명도 확보하지 못해 군 복무를 대체하는 공중방역 수의사에 의존하고 있다.
강원도의 수의직도 정원(86명)과 비교하면 19명이 부족하다.
도는 수의직 공무원을 확보하고자 경력경쟁 채용을 지속해 추진하지만, 실제 임용률은 2021년 41%, 2022년 17%, 2023년 12%로 감소하고 있다.
발령을 내더라도 주거 등 열악한 근무 환경을 확인하고서 임용 첫날 아예 출근하지 않는 경우도 있다.
이처럼 수의직 공무원을 확보하기 어려운 것은 동물 방역, 축산물 위생 안전, 반려동물 보호 등의 업무가 날로 증가하는 데다 다른 직급에 비해 승진 기회가 제한돼 있기 때문이다.
강원은 2019년부터 아프리카돼지열병 등이 속출하면서 가축 질병 위기관리 경보가 가장 높은 단계인 '심각'을 유지하고 있다.
이에 현장에 동원되는 일이 잦아지거나 24시간 대기해야 하고, 주말에는 상황실 근무까지 하는 형편이다.
또 최근 수의대 졸업생들이 반려동물 분야 동물병원 개원이나 대도시 근무를 선호하는 것과도 관련이 있어 보인다.
6년을 공부해 수의사 면허를 딴 신규 수의직들은 현장 채혈 업무만 반복되는 현실에 환멸을 느껴 민간 분야로 이동하는 추세다.
이와 함께 반려동물과 관련된 민원 업무가 급증하는 것도 수의직 공무원들이 공직을 떠나게 하는 한 요인이 되고 있다.
최근 도내 한 지자체에서는 반려동물 민원에 시달리던 공무원이 사표를 냈다.
도는 수의직 공무원들의 이직률을 최소화하고자 현재 7급으로 채용하는 수의직을 6급으로 상향하고, 현재 4명인 전문관을 10명까지 늘리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이와 함께 채혈 업무는 민간 병원으로 이양하거나 수의사가 하지 않아도 되는 단순 업무는 다른 사람에게 넘기는 방안을 고려하고 있다.
아울러 업무 현실과 동떨어진 관련 법령을 개정하는 등 중앙 정부 차원의 대책 마련도 시급하다는 게 관계자들의 설명이다.
도 관계자는 "5년째 위기관리 대응 경보가 심각 단계라는 것은 가축 전염병과 전쟁 중이라는 것과 같다"며 "가축 전염병 발생 등으로 업무가 힘들어지다 보니 공직에 젊은 사람들이 없다.
이렇게 가다가는 앞날이 캄캄하다"고 말했다.
/연합뉴스
"사기 진작 대책 및 현실과 동떨어진 관련 법률 정비 시급" 최근 럼피스킨 등 가축 전염병이 끊이지 않는 가운데 강원 지방자치단체들이 수의직 공무원을 확보하는 데 어려움을 겪고 있다.
19일 강원도에 따르면 18개 시군의 수의직 정원은 40명이지만 현원은 15명에 불과해 25명이 부족한 상태다.
도내 지자체 중 정원을 확보한 곳은 횡성군(2명)과 양양군(1명) 등 2개 지자체뿐이다.
태백시, 속초시, 홍천군, 평창군, 정선군, 철원군, 화천군 등 7개 지자체는 수의직 공무원을 한 명도 확보하지 못해 군 복무를 대체하는 공중방역 수의사에 의존하고 있다.
강원도의 수의직도 정원(86명)과 비교하면 19명이 부족하다.
도는 수의직 공무원을 확보하고자 경력경쟁 채용을 지속해 추진하지만, 실제 임용률은 2021년 41%, 2022년 17%, 2023년 12%로 감소하고 있다.
발령을 내더라도 주거 등 열악한 근무 환경을 확인하고서 임용 첫날 아예 출근하지 않는 경우도 있다.
이처럼 수의직 공무원을 확보하기 어려운 것은 동물 방역, 축산물 위생 안전, 반려동물 보호 등의 업무가 날로 증가하는 데다 다른 직급에 비해 승진 기회가 제한돼 있기 때문이다.
강원은 2019년부터 아프리카돼지열병 등이 속출하면서 가축 질병 위기관리 경보가 가장 높은 단계인 '심각'을 유지하고 있다.
이에 현장에 동원되는 일이 잦아지거나 24시간 대기해야 하고, 주말에는 상황실 근무까지 하는 형편이다.
또 최근 수의대 졸업생들이 반려동물 분야 동물병원 개원이나 대도시 근무를 선호하는 것과도 관련이 있어 보인다.
6년을 공부해 수의사 면허를 딴 신규 수의직들은 현장 채혈 업무만 반복되는 현실에 환멸을 느껴 민간 분야로 이동하는 추세다.
이와 함께 반려동물과 관련된 민원 업무가 급증하는 것도 수의직 공무원들이 공직을 떠나게 하는 한 요인이 되고 있다.
최근 도내 한 지자체에서는 반려동물 민원에 시달리던 공무원이 사표를 냈다.
도는 수의직 공무원들의 이직률을 최소화하고자 현재 7급으로 채용하는 수의직을 6급으로 상향하고, 현재 4명인 전문관을 10명까지 늘리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이와 함께 채혈 업무는 민간 병원으로 이양하거나 수의사가 하지 않아도 되는 단순 업무는 다른 사람에게 넘기는 방안을 고려하고 있다.
아울러 업무 현실과 동떨어진 관련 법령을 개정하는 등 중앙 정부 차원의 대책 마련도 시급하다는 게 관계자들의 설명이다.
도 관계자는 "5년째 위기관리 대응 경보가 심각 단계라는 것은 가축 전염병과 전쟁 중이라는 것과 같다"며 "가축 전염병 발생 등으로 업무가 힘들어지다 보니 공직에 젊은 사람들이 없다.
이렇게 가다가는 앞날이 캄캄하다"고 말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