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통안전공단 설문조사…전기차 비추천 사유 1위는 '충전인프라 부족'
'차량화재' 걱정 가장 많아…"안전이용법·사고대응 수칙 숙지를"
전기차 운전자 73% '구매 추천'…"환경보호·유지비 절감"
국내 전기차 운전자 10명 중 7명은 주변에 전기차 구매를 추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14일 한국교통안전공단이 '전기차 특별안전점검' 기간인 지난 7월 4일∼10월 12일 서비스센터를 방문한 전기차 이용자 225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전체 응답자의 72.9%가 '지인에게 전기차 구매를 추천한다'고 답했다.

'추천하지 않는다'는 답변은 9.3%였고, 나머지 17.8%는 '중립'이었다.

추천하는 사유(중복 응답)로는 '환경보호'와 '차량 가격·유지비 절감'이 각 31.6%로 공동 1위를 차지했다.

'성능 및 디자인'(14.2%), '주행거리'(8%)가 뒤를 이었다.

전기차 운전자 73% '구매 추천'…"환경보호·유지비 절감"
추천하지 않는 이유(중복 응답)는 '충전 인프라 부족'(35.7%)이 가장 많았다.

이어 '안전성 및 신뢰성 부족'(18%), '차량 가격 부담'(17.1%) 등이었다.

전기차 운전자들은 전기차 운행 시 걱정스러운 요소(중복 응답)로 '충돌 후 화재'(29.3%), '충전 중 화재'(21.1%) 등 '차량 화재'를 가장 많이 꼽았다.

'자동차 급발진'(16.7%), '충돌 후 문 안 열림'(13.2%), '정비 비용 부담 및 정비업체 부족'(12.6%) 등의 답변도 있었다.

전기차 운전자 73% '구매 추천'…"환경보호·유지비 절감"
공단은 평소 전기차 안전 이용법과 사고 대응 수칙을 숙지할 것을 운전자들에게 당부했다.

전기차는 하부 배터리팩에 집중적인 충격을 받을 경우 배터리가 손상돼 화재 등 안전사고로 이어질 수 있어 운행 시 주의가 필요하다.

이동형(휴대용) 충전기 사용 시 전력 부하로 인한 전원 차단, 화재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어 지정된 충전 콘센트만 사용하고 연장선을 사용하는 것은 삼가야 한다.

차종에 따라 다를 수 있지만, 일반적으로 장거리 주행 목적이 아닌 일상 사용 시에는 배터리 충전량(SOC)을 30∼90% 수준으로 유지하고, 장기 주차 시에는 충전량을 40∼60% 수준으로 둘 것을 권장한다.

전기차 운전자 73% '구매 추천'…"환경보호·유지비 절감"
고전압배터리에서 화재가 발생했다면 스스로 진압하려 하기보다는 빠르게 안전한 장소로 대피하고 119에 신고해야 한다.

또 전기차의 문손잡이는 매립형인 경우가 많고, 사고 시 손잡이가 작동하지 않는 경우에는 한쪽 끝을 누르고 잡아당겨야 한다.

또 제작사가 제공하는 사용자 매뉴얼에 안내된 문 여는 방법을 반드시 숙지해야 한다.

공단 권용복 이사장은 "전기차 시장 확대에 따라 안전에 대한 국민 관심이 높은 만큼 공단은 안전한 전기차 운행 환경을 위한 역할에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밝혔다.

전기차 운전자 73% '구매 추천'…"환경보호·유지비 절감"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