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택근무 도중 화상회의를 하는 모습. 게티이미지뱅크
재택근무 도중 화상회의를 하는 모습. 게티이미지뱅크
코로나19 엔데믹에 접어들면서 재택근무를 폐지하거나 축소하는 기업들이 늘어나고 있다.

한국경영자총협회(경총)가 5일 매출 기준 상위 50개 기업의 최근 재택근무 현황을 조사한 결과 응답 기업의 58.1%가 "재택근무를 시행하고 있다"고 답했다. 재택근무 시행 기업 비중(매출 100대 기업)은 2021년 91.5%, 2022년 72.7%에 달했다.

경총은 지난해부터 이뤄진 정부의 코로나19 방역 정책 완화에 따라 재택근무 실시 비중이 감소한 것으로 분석했다. 실제로 '재택근무를 시행한 적 있으나 현재는 하지 않는 기업' 응답은 38.7%에 달했다. 미시행 답변(41.9%)의 대부분을 차지했다. 지금껏 '시행한 적 없다' 응답은 3.2%였다.

재택근무를 시행하고 있는 기업들도 제도 규모를 축소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재택근무 시행 기업 중 61.9%는 '필요 인원을 선별하거나 개별 신청'하는 방식을 택하고 있다고 응답했다. 2021년엔 해당 응답 비중이 29.3%, 2022년엔 33.3%에 그쳤다. 이밖에 교대 순환형과 부서별 자율 운영 응답률은 각각 19%로 나타났다.

경총 관계자는 "코로나19로 인한 위기 상황이 종식되면서 전 직원을 대상으로 교대로 시행하는 방식이 축소되고 있다"며 "재택근무가 필요한 인원을 선별 또는 신청받아 필요에 따라 제한적으로 시행하는 방식이 주된 형태가 된 것"이라고 설명했다.
재택근무 축소·중단 과정에서 근로자들의 반대 정도 응답.  한국경영자총협회 제공
재택근무 축소·중단 과정에서 근로자들의 반대 정도 응답. 한국경영자총협회 제공
정부의 방역 정책 완화 등에 따른 재택근무 축소·중단 추세에 직원들의 반응은 엇갈렸다. '반대가 거의 없었다'는 응답은 50%로 절반을 차지했다. 반면 '강한 반대가 있었다(10%)' 등 '반대가 있었다'는 응답은 46.7%로 집계됐다. 반대 응답 중 '정도가 강하지 않았음'과 '강한 반대가 있었다' 응답은 각각 36.7%, 10%로 나타났다.

향후 재택근무 전망에 대한 문항에선 기업들의 상당수는 '코로나19 이전 수준으로 돌아갈 것(64.5%)'이라고 답했다. '코로나19 이전보다 확대될 것이나 제한적일 것'이란 응답은 25.8%, '향후에도 지속해서 활용·확산할 것' 응답은 9.7% 순으로 나타났다.

하상우 경총 경제조사본부장은 "코로나19로 크게 확산하였던 재택근무가 현저히 축소되면서 이제 방역과 업무 수행을 위한 불가피한 선택에서는 벗어난 것으로 보인다"라고 평가했다. 그러면서 "아직 재택근무가 대면 근무를 대체하기보다는 업종, 직무, 근로자 여건 등에 따라 선별적으로 채택되는 제도로 자리매김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배성수 기자 baebae@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