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국·프랑스 등 12개국 기업관계자 방한…반도체·모빌리티 등 협력 모색
HD한국조선해양-유레카, 기술혁신 양해각서 체결
"한·유럽 기술협력 강화"…'코리아 유레카 데이' 개막
영국, 프랑스 등 유럽 국가의 첨단산업 기업 관계자들이 방한해 국내 기업들과 반도체, 모빌리티 분야 등 최신 기술 동향을 공유하고 협력 확대 방안을 모색한다.

산업통상자원부는 30일 유럽의 연구개발 플랫폼 '유레카'에 속한 12개 주요 기술 협력국 관계자들이 참여하는 기술 협력 행사 '2023 코리아 유레카 데이'를 이날부터 내달 1일까지 사흘간 서울 롯데호텔에서 개최한다고 밝혔다.

유레카는 유럽 41개국과 한국, 캐나다를 포함한 비(非)유럽 6개국 등 총 47개국이 참여한 세계 최대 공동 연구개발 플랫폼이다.

한국은 지난해 캐나다와 함께 비유럽국 첫 정회원으로 승격됐고, 지난 6월에는 임기 2년의 이사회 구성원으로 선정되는 등 유레카 내에서 위상이 빠르게 강화하고 있다.

개막일인 30일 열리는 '한·유레카 혁신포럼'에서는 유레카 의장의 특별 기조연설에 이어 삼성전자 공준진 마스터와 현대차그룹 김수영 상무가 각각 차세대 반도체와 모빌리티를 주제로 기조연설을 한다.

아울러 포럼에서 HD한국조선해양과 유레카는 기술 혁신 비즈니스 파트너십 지원을 위한 양해각서를 체결, 협력 과제 발굴에 나선다.

31일에는 프랑스와 스페인 등 8개국의 산업 정책과 기업을 한국에 소개하는 국가별 세미가 열린다.

행사 마지막 날인 내달 1일에는 방한 기업인과 유레카 관계자들이 삼성전자, 삼성디스플레이, 현대자동차 등 한국의 첨단 기술 현장을 돌아보는 산업 시찰 프로그램이 마련됐다.

정부는 '국내 위주 나눠먹기식, 갈라먹기식' 정부 연구개발(R&D) 예산 배분 관행에 문제가 있다는 인식에 따라 관련 예산을 삭감하면서도 산업 R&D 개방 등을 통해 세계적 수준의 공동 연구를 대폭 확대하겠다는 방향을 제시한 바 있다.

오승철 산업부 산업기반실장은 "유레카는 글로벌 산업 표준을 선도하고 개방형 혁신에 앞장선 국제 협력 최대 파트너"라며 "정부는 우리 기업이 세계 최고 수준의 산업 기술을 확보할 수 있도록 R&D 국제 협력을 더욱 활성화하겠다"고 말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