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어음 금리 연일 상승…고개 드는 단기자금시장 경색 불안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수요 사라지고 공급 늘어난 영향…'작년 같은 상황 아니다' 진단도
기업들의 대표적인 단기자금 조달 수단인 기업어음(CP) 금리가 최근 연일 올라 단기자금시장 유동성 경색 우려가 깊어지고 있다.
29일 금융투자협회에 따르면 지난달 초 3.990%였던 CP 91일물 금리는 이달 27일 기준 4.290%를 기록하며 최근 약 두 달간 30bp(1bp=0.01%포인트) 상승했다.
특히 이달 들어 상승세가 가팔랐다.
10월이 추석 연휴와 한글날 등 휴일이 많아 영업일이 적다는 점을 고려하면 CP 금리는 거의 하루도 빠짐없이 1∼2bp씩 오른 셈이다.
같은 초단기물인 양도성예금증서(CD) 91일물 금리가 지난달 10bp 이상 상승했지만, 이달 6일부터는 3.820%를 유지하고 있는 것과 대조적이다.
증권가에선 CP에 투자하는 증권사의 랩어카운트·특정금전신탁(신탁)이 개점 휴업 상태가 되면서 수요가 마르자 금리가 오를 수밖에 없다고 보고 있다.
업계에 따르면 대다수 증권사는 단기 투자 상품인 채권형 랩·신탁 계좌에 유치한 자금을 장기채권과 CP 등에 편입·운용하는 '만기 미스매칭' 전략을 활용해왔다.
그러다 지난해 금리 상승과 강원 레고랜드발 채무불이행(디폴트) 사태 등으로 채권 가격이 급락하면서 채권형 랩·신탁에서 손실이 발생했고, 일부 증권사들은 이를 만회하기 위해 두 개 이상의 내부 계좌를 이용해 한쪽이 펀드를 매도하면 다른 한쪽이 사들이는 '자전거래'를 했다는 의혹을 받았다.
이런 불건전영업 관행에 대해 금융 당국의 조사가 지난 5월부터 진행되면서 랩·신탁이 장기간 휴업 상태인 점이 CP 금리에 영향을 줬다는 설명이다.
한 증권사의 채권 담당 매니저는 "비단 CP뿐만 아니라 카드·캐피탈채도 전체 발행 물량의 30% 정도를 랩·신탁에서 샀는데 수요 자체가 없어 발행을 못 할 정도"라며 "CP는 특히 랩·신탁 수요가 차지하는 비중이 여전채보다 컸는데 갑자기 수요가 없어져 버렸다"고 말했다.
공급 측면에서는 이달 초 미국 국채 금리 급등으로 회사채 스프레드(회사채·국고채 간 금리차)가 확대되자 기업들이 상대적으로 금리가 낮은 CP 발행으로 눈을 돌려 수급 불균형을 가져온 영향도 있었다.
금융정보업체 연합인포맥스에 따르면 이달 둘째 주(10월 9∼13일) CP는 3조9천884억원이 순발행됐다.
이는 올해 주간 CP 순발행액 중 가장 많은 금액이다.
기업들 입장에서 CP 금리 상승은 자금 조달 비용 증가를 의미한다.
최근 금리 상승으로 회사채 발행을 통한 자금 조달이 여의찮은 상황에서 단기자금시장 금리마저 오르면 기업의 자금난은 가중된다.
또 CP·CD금리에 가산해 책정되는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자산유동화기업어음(ABCP) 금리를 자극해 만기가 도래하는 PF-ABCP 물량은 차환에 어려움을 겪을 수 있고, 지난해처럼 단기자금시장 경색을 일으킬 수도 있다.
PF-ABCP는 PF 사업 자금조달을 위해 시행사에 대한 대출채권을 기초자산으로 해 발행하는 통상 3개월 만기의 기업어음이다.
다만 이런 상승 추세가 연말까지 장기화하진 않을 것이라는 전망도 나온다.
김은기 삼성증권 연구원은 "10월 CP 금리 상승은 단기자금시장 리스크 요인보다는 수급에 따른 이슈"라며 "10월 들어 머니마켓펀드(MMF) 등 단기자금 유입이 지속되고 있으며 10월 초 급증했던 CP 발행도 중순 이후 크게 둔화하고 있다"고 짚었다.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도 지난 19일 금융통화위원회 통화정책방향 회의 후 기자간담회에서 "CP 시장은 유통시장이 발달한 시장이 아니고 발행시장 위주로 다양한 주체가 발행하고 있기 때문에 과거에도 시장금리가 올라가면 후행해 올라가는 측면이 있다"며 "미국 중장기 채권 금리가 올라가 CP가 그를 따라가는 국면에 있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작년에 비하면 한국전력·은행채 발행이라든지 문제가 많이 해결돼서 작년에 유동성 지원하듯이 유동성 기구를 다시 발동할 상황은 전혀 아니라고 생각한다"고 덧붙였다.
/연합뉴스
29일 금융투자협회에 따르면 지난달 초 3.990%였던 CP 91일물 금리는 이달 27일 기준 4.290%를 기록하며 최근 약 두 달간 30bp(1bp=0.01%포인트) 상승했다.
특히 이달 들어 상승세가 가팔랐다.
10월이 추석 연휴와 한글날 등 휴일이 많아 영업일이 적다는 점을 고려하면 CP 금리는 거의 하루도 빠짐없이 1∼2bp씩 오른 셈이다.
같은 초단기물인 양도성예금증서(CD) 91일물 금리가 지난달 10bp 이상 상승했지만, 이달 6일부터는 3.820%를 유지하고 있는 것과 대조적이다.
증권가에선 CP에 투자하는 증권사의 랩어카운트·특정금전신탁(신탁)이 개점 휴업 상태가 되면서 수요가 마르자 금리가 오를 수밖에 없다고 보고 있다.
업계에 따르면 대다수 증권사는 단기 투자 상품인 채권형 랩·신탁 계좌에 유치한 자금을 장기채권과 CP 등에 편입·운용하는 '만기 미스매칭' 전략을 활용해왔다.
그러다 지난해 금리 상승과 강원 레고랜드발 채무불이행(디폴트) 사태 등으로 채권 가격이 급락하면서 채권형 랩·신탁에서 손실이 발생했고, 일부 증권사들은 이를 만회하기 위해 두 개 이상의 내부 계좌를 이용해 한쪽이 펀드를 매도하면 다른 한쪽이 사들이는 '자전거래'를 했다는 의혹을 받았다.
이런 불건전영업 관행에 대해 금융 당국의 조사가 지난 5월부터 진행되면서 랩·신탁이 장기간 휴업 상태인 점이 CP 금리에 영향을 줬다는 설명이다.
한 증권사의 채권 담당 매니저는 "비단 CP뿐만 아니라 카드·캐피탈채도 전체 발행 물량의 30% 정도를 랩·신탁에서 샀는데 수요 자체가 없어 발행을 못 할 정도"라며 "CP는 특히 랩·신탁 수요가 차지하는 비중이 여전채보다 컸는데 갑자기 수요가 없어져 버렸다"고 말했다.
공급 측면에서는 이달 초 미국 국채 금리 급등으로 회사채 스프레드(회사채·국고채 간 금리차)가 확대되자 기업들이 상대적으로 금리가 낮은 CP 발행으로 눈을 돌려 수급 불균형을 가져온 영향도 있었다.
금융정보업체 연합인포맥스에 따르면 이달 둘째 주(10월 9∼13일) CP는 3조9천884억원이 순발행됐다.
이는 올해 주간 CP 순발행액 중 가장 많은 금액이다.
기업들 입장에서 CP 금리 상승은 자금 조달 비용 증가를 의미한다.
최근 금리 상승으로 회사채 발행을 통한 자금 조달이 여의찮은 상황에서 단기자금시장 금리마저 오르면 기업의 자금난은 가중된다.
또 CP·CD금리에 가산해 책정되는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자산유동화기업어음(ABCP) 금리를 자극해 만기가 도래하는 PF-ABCP 물량은 차환에 어려움을 겪을 수 있고, 지난해처럼 단기자금시장 경색을 일으킬 수도 있다.
PF-ABCP는 PF 사업 자금조달을 위해 시행사에 대한 대출채권을 기초자산으로 해 발행하는 통상 3개월 만기의 기업어음이다.
다만 이런 상승 추세가 연말까지 장기화하진 않을 것이라는 전망도 나온다.
김은기 삼성증권 연구원은 "10월 CP 금리 상승은 단기자금시장 리스크 요인보다는 수급에 따른 이슈"라며 "10월 들어 머니마켓펀드(MMF) 등 단기자금 유입이 지속되고 있으며 10월 초 급증했던 CP 발행도 중순 이후 크게 둔화하고 있다"고 짚었다.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도 지난 19일 금융통화위원회 통화정책방향 회의 후 기자간담회에서 "CP 시장은 유통시장이 발달한 시장이 아니고 발행시장 위주로 다양한 주체가 발행하고 있기 때문에 과거에도 시장금리가 올라가면 후행해 올라가는 측면이 있다"며 "미국 중장기 채권 금리가 올라가 CP가 그를 따라가는 국면에 있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작년에 비하면 한국전력·은행채 발행이라든지 문제가 많이 해결돼서 작년에 유동성 지원하듯이 유동성 기구를 다시 발동할 상황은 전혀 아니라고 생각한다"고 덧붙였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