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입 물량·가격은 '모니터용'으로 등록 요구…업계, 환영
인도, 11월 1일부터 랩톱·태블릿 '제한 없는 수입' 허용
인도 정부가 랩톱 및 태블릿 등의 제한 없는 수입을 허용하고 이들 제품의 수입 상황을 모니터하는 내용의 새로운 수입관리 제도를 도입하기로 했다.

인도 전자정보기술부 관계자들은 19일(현지시간) 뉴델리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새로운 수입관리 제도가 오는 11일 1일부터 시행된다고 밝혔다고 로이터 통신이 전했다.

새 제도는 업체들이 수입 물량과 가격을 등록하도록 요구하지만, 정부는 어떠한 수입 신청도 거부하지 않고 업체가 제공하는 자료는 모니터용으로만 이용하도록 한다고 이들은 설명했다.

그러면서 모니터한 자료를 바탕으로 내년 9월 이후 추가 조치가 나올 수 있다고 덧붙였다.

인도 정부는 지난 8월 3일 랩톱과 태블릿, PC 등에 대한 수입허가제 시행을 발표했다가 관련 업계의 반발 등을 이유로 하루 만에 결정을 번복, 11일 1일 자 시행으로 변경했다.

허가제는 정부가 모든 수입 건에 대해 허가하고 수입 신청을 보류하거나 거부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델이나 HP, 애플, 삼성, 레노보 등의 업체들은 그동안 불안해할 수밖에 없었다.

새 제도는 이 같은 허가제와 전혀 다른 내용이어서 관련 업계는 환영하는 분위기다.

인도 휴대전화전자제품협회(ICEA)는 성명을 내고 "랩톱과 태블릿 등에 대한 제한 없는 수입을 유지하기로 한 (인도) 정부의 결정에 깊은 감사를 표한다"면서 정책 형성과 현실 간 간극을 메우기 위한 대화가 계속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지난 4월부터 8월까지 인도로 수입된 랩톱과 태블릿 등 전자제품과 소프트웨어는 336억 달러(약 45조6천억원)어치로 작년 동기에 비해 약 8% 늘어났다고 로이터는 전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