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능 출제위원, 서울대 출신 다수 포함도 '사교육 카르텔'"…한반도선진화재단 세미나
"대학교수가 사교육업체 임원으로 재직…겸직 근무 개선해야"
일부 대학교수들이 사교육 업체의 임원으로 재직하고 있어 대학과 학원 간 유착이 의심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양정호 성균관대 교수는 4일 서울 중구 한국프레스센터에서 한반도선진화재단, 교육데이터분석학회 주최로 열린 '2028 대입 개편 방향, 어디로 가야 하나: 혼란 방치냐? 학교 살리기냐?' 세미나에서 "사교육 업체에서 임원으로 재직하는 교수들이 있다"며 이를 '사외이사 카르텔'이라고 비판했다.

양 교수에 따르면 A 사교육 업체에는 H대 교육공학과 교수가 사외이사 임원으로, B 사교육 업체에는 K교대 부총장이 사외이사 임원으로 각각 재직 중이다.

S대 컴퓨터공학과 교수와 K대 경영대 교수, D대 경영대 교수 역시 각각 다른 사교육 업체의 사외이사 임원으로 이름을 올린 상태다.

전 H대 초빙교수도 현재 모 사교육 업체 상근 감사 임원을 지내고 있다.

양 교수는 "사교육과 교수의 연결고리를 차단하기 위해 상시 모니터링이 필요하다"며 "대학 교수가 사교육 업체에서 사외이사나 임원으로 겸직 근무하는 현상을 적극적으로 개선할 필요가 있다"고 주장했다.

"대학교수가 사교육업체 임원으로 재직…겸직 근무 개선해야"
이와 함께 양 교수는 "대학수학능력시험(수능) 출제·검토 위원에 서울대, 고려대, 한국교원대 등 특정 대학 출신이 다수 참여하는 것도 '입시 카르텔'"이라고 지적했다.

수능 출제·검토 위원은 500여명에 달한다.

이 가운데 지난해(2023학년도 수능) 기준 서울대 출신 출제·검토 위원이 62명을 차지해 가장 많았다.

2, 3번째로 많은 고려대와 한국교원대의 경우 출제·검토 위원이 20명대였다.

교육계에서는 특정 대학 출신 위주로 출제·검토 위원이 구성되면 서로 견제하지 않아 출제 오류를 걸러내기 쉽지 않다는 비판이 제기돼왔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