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플레' 경고한 IMF…"5년 내 물가 잡힌 사례 60% 안돼"
국제통화기금(IMF)이 “역사적으로 인플레이션이 발생한 지 5년 이내에 진정된 경우는 전체의 60%가 채 되지 않는다”는 연구 결과를 내놓았다.

IMF는 3일 아닐 아리 이코노미스트를 비롯한 연구진이 작성한 ‘100번의 인플레이션 충격과 정형화된 사실 7가지’라는 제목의 보고서를 발표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1970년부터 지금까지 56개국에서 발생한 인플레이션 111건을 분석한 결과 64건(57.6%)만 5년 안에 문제가 해결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마저도 인플레이션 해결까지 3년 이상 걸렸다. 인플레이션 충격 이후 1년 이내에 위기 이전으로 경제가 회복된 사례는 10%(12건)에 불과했다.

인플레이션 관련 통화정책의 실패의 주된 원인으로는 샴페인을 너무 일찍 터뜨린 것과 관련이 있었다는 분석이다.

보고서는 “해결하지 못한 인플레이션 사례의 약 90%가 인플레이션 초기 충격 이후 3년 이내에 물가상승률이 크게 하락한 뒤 높은 수준에서 정체되거나 다시 가속화했다”고 설명했다.
'인플레' 경고한 IMF…"5년 내 물가 잡힌 사례 60% 안돼"
1973년 미국의 사례가 대표적이다.

미국 중앙은행(Fed)은 1970년대 초반 1차 오일쇼크로 물가가 급등하자 기준금리를 최고 연 11% 선까지 올렸지만 이후 물가상승률이 둔화하자 곧바로 기준금리를 낮추기 시작했다.

하지만 1970년대 후반 2차 오일쇼크가 발생하면서 1979년 물가상승률이 13%대까지 올랐다.

인플레이션을 성공적으로 극복한 사례로는 1979년 영국을 꼽았다.

영국은 당시 2차 오일쇼크로 인해 인플레이션이 5%에서 15%로 급등했다.

이에 영국 중앙은행은 1980년과 1984년 사이에 실질 금리를 연 -5%에서 연 7%로 끌어올렸다.

1979년 마거릿 대처 총리가 당선과 동시에 인플레이션 통제를 공약으로 내건 이 기간에 오일쇼크가 경제를 강타하면서 처음에 국내총생산(GDP) 증가율이 급락했지만, 이후 1980년대 중반에는 충격 이전의 성장률인 3~5%로 회복됐다.

보고서는 “중앙은행의 독립성 강화도 2차 오일쇼크 이후 인플레이션을 통제하는 데 한몫했을 수 있다”면서 "중앙은행의 일관된 통화정책의 중요성이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김보미기자 bm0626@wowtv.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