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혜영 의원 "치매 대응체계도 지역 격차…안심센터 75%는 필수인력 미채용"
"치매안심센터 협약병원 서울 8.4곳 vs 강원 1.6곳"
고령화로 치매환자 100만 명 시대를 눈앞에 둔 가운데 치매환자 대응 체계에 지역별 격차가 커서 개선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왔다.

21일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소속 더불어민주당 최혜영 의원이 보건복지부에서 받은 자료에 따르면 2022년 말 기준 전국 256개 기초 지방자치단체에서 운영 중인 치매안심센터에 53만3천959만 명의 치매환자가 등록돼 관리를 받고 있다.

치매안심센터는 치매 진단과 지원 연계, 치매예방사업 등을 하는 기관이다.

센터 방문자에 대한 치매 선별검사에서 추가 검사가 필요하다는 판단이 나오면 협약병원에서 감별검사가 진행된다.

서울 지역의 경우 센터 1곳당 평균 8.4곳의 협약병원이 있다.

하지만 강원은 1.6곳에 불과해 인프라 격차가 있다고 의원실은 지적했다.

또 복지부 '치매사업 운영기준'에 따라 치매안심센터는 간호사와 사회복지사(1급), 작업치료사, 임상심리사 등 필수인력을 1명 이상 둬야 하지만 특정 직역을 한 명도 채용하지 않은 센터가 전체의 75%인 191곳에 달했다.

센터별 업무량도 차이가 커서 전국 치매안심센터의 평균 1인당 사례관리자는 57명 수준이었으나, 개별 센터에 따라 종사자 1인이 최대 558명까지 맡는 곳도 있다.

최혜영 의원은 "'어디에 사느냐'에 따라 질병의 조기 발견과 지원 역량에 차이가 나는 것은 문제"라며 "정부는 지역별·직역별 편차 해소를 위한 인력수급 계획과 운영지침 수정 등 적극적인 개선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한편 중앙치매센터의 '대한민국 치매현황 2022'에 따르면 2021년 말 기준 60세 이상 추정치매환자는 91만 명이다.

더구나 중앙치매센터의 홈페이지에 공개하는 미승인 통계 기준으로는 올해 100만 명을 웃돌고 있다.

복지부는 공식적으로 내년 치매환자가 100만 명을 넘을 것으로 보고 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