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장기물 국채금리 상승분의 절반이상, 미국 금리 영향"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한은 분석…"단기물은 미국 금리 상승에도 영향 크지 않아"
최근 한국 국채 장기물 금리 상승분의 절반 이상은 미국 국채 금리가 오른 데 따른 것이라는 분석이 나왔다.
한국은행이 11일 발표한 '한·미 금리 동조화 현황과 평가' 보고서에 따르면 두 나라 간 금리를 실증 분석한 결과, 올해 미국 국채 금리의 영향이 장기물에서 커졌지만 중·단기물에서 줄어 동조화 정도가 만기별로 차별되는 경향이 나타나고 있다.
한은은 "단기물의 경우 미국 국채 금리의 영향이 지난해 18∼19%에서 올해 들어 10% 수준으로 낮아졌다"며 "하지만 10년물에 대한 영향은 소폭 감소에 그쳐 여전히 50%를 넘고 있다"고 밝혔다.
예를 들어 미국 국채 금리가 급등한 7월 25∼8월 21일 우리나라 1년 이하 단기물 국고채 금리는 보합세(3개월물 -0.01%p·1년물 +0.04%p)를 유지했다.
그러나 국고채 10년물과 3년물의 경우 각 금리 상승 폭(+0.29%p·0.15%p) 가운데 약 56%(0.16%p)와 39%(0.06%p)가 미국 국채 금리 상승의 영향이라는 게 한은의 설명이다.
한은은 이런 분석을 토대로 "미국 금리 상승의 영향이 우려할 만큼 크지 않을 가능성이 있다"고 진단했다.
우리나라 가계·기업의 대출금리에서 1년이하 단기 금리에 연동되는 변동금리의 비중이 크고, 회사채·은행채 등의 발행 만기 역시 3년물 이하 중·단기물 비중이 크기 때문이다.
한은은 "다만 국내 장기 금리의 경우 여전히 미국 국채 금리와의 동조성이 강해 이와 연계된 일부 대출금리, 은행채·회사채 금리 등은 미국 국채 금리 상승에 일정 부분 영향을 받을 가능성이 있다"고 경고했다.
아울러 "향후 미국 통화정책에 대한 기대 변화 등으로 미국 국채금리의 변동성이 확대될 수 있을 뿐 아니라 국내 금리에 미치는 영향도 커질 수 있는 만큼 미국 국채금리 움직임을 면밀히 점검할 필요가 있다"고 덧붙였다.
/연합뉴스
최근 한국 국채 장기물 금리 상승분의 절반 이상은 미국 국채 금리가 오른 데 따른 것이라는 분석이 나왔다.
한국은행이 11일 발표한 '한·미 금리 동조화 현황과 평가' 보고서에 따르면 두 나라 간 금리를 실증 분석한 결과, 올해 미국 국채 금리의 영향이 장기물에서 커졌지만 중·단기물에서 줄어 동조화 정도가 만기별로 차별되는 경향이 나타나고 있다.
한은은 "단기물의 경우 미국 국채 금리의 영향이 지난해 18∼19%에서 올해 들어 10% 수준으로 낮아졌다"며 "하지만 10년물에 대한 영향은 소폭 감소에 그쳐 여전히 50%를 넘고 있다"고 밝혔다.
예를 들어 미국 국채 금리가 급등한 7월 25∼8월 21일 우리나라 1년 이하 단기물 국고채 금리는 보합세(3개월물 -0.01%p·1년물 +0.04%p)를 유지했다.
그러나 국고채 10년물과 3년물의 경우 각 금리 상승 폭(+0.29%p·0.15%p) 가운데 약 56%(0.16%p)와 39%(0.06%p)가 미국 국채 금리 상승의 영향이라는 게 한은의 설명이다.
한은은 이런 분석을 토대로 "미국 금리 상승의 영향이 우려할 만큼 크지 않을 가능성이 있다"고 진단했다.
우리나라 가계·기업의 대출금리에서 1년이하 단기 금리에 연동되는 변동금리의 비중이 크고, 회사채·은행채 등의 발행 만기 역시 3년물 이하 중·단기물 비중이 크기 때문이다.
한은은 "다만 국내 장기 금리의 경우 여전히 미국 국채 금리와의 동조성이 강해 이와 연계된 일부 대출금리, 은행채·회사채 금리 등은 미국 국채 금리 상승에 일정 부분 영향을 받을 가능성이 있다"고 경고했다.
아울러 "향후 미국 통화정책에 대한 기대 변화 등으로 미국 국채금리의 변동성이 확대될 수 있을 뿐 아니라 국내 금리에 미치는 영향도 커질 수 있는 만큼 미국 국채금리 움직임을 면밀히 점검할 필요가 있다"고 덧붙였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