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임사태 2라운드에 다시 불붙은 판매사 의혹…증권가 '당혹'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김상희 의원 해명에 불똥…가장 먼저 조사 대상 올라
금융감독원의 '3대 펀드 사태' 추가검사 결과 발표 이후 여의도 증권가에선 펀드 판매사들의 특혜성 환매 의혹이 들불처럼 번지고 있다.
이번 재검사는 라임자산운용(이하 라임) 피투자기업의 횡령 등 펀드 판매 이후에 이뤄진 위법행위에 초점이 맞춰졌지만, 특혜 환매 의혹 대상에 야당 국회의원이 얽히면서 증권사들이 먼저 조사 선상에 오르자 업계는 당혹스러워하는 분위기다.
3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서울남부지검 금융증권범죄합동수사부(단성한 부장검사)는 지난달 31일 특혜성 환매 의혹에 연루된 미래에셋증권, NH투자증권, 유안타증권 등을 압수수색했다.
이들 증권사는 각각 더불어민주당 김상희 의원과 농협중앙회, 고려아연에 라임 펀드를 판매한 판매사로 알려졌다.
금감원에 따르면 라임은 2019년 10월 대규모 환매 중단 사태가 벌어지기 전인 같은 해 8∼9월 다른 펀드 자금과 운용사 고유자금으로 특정 4개 펀드 투자자에게 환매를 해줬다.
4개 펀드 투자자에 김 의원과 농협중앙회, 고려아연 등 유력인사와 법인이 포함돼 있어 '특혜성 환매' 의혹이 제기됐다.
검찰뿐 아니라 금감원도 지난달 미래에셋증권에 대한 검사에 착수했다.
필요에 따라 다른 판매사로 검사가 확대될 가능성도 있다.
여의도 증권가는 가장 먼저 판매사들이 의혹 전면에 나서게 되자 난감해하는 기색이 역력하다.
한 증권사 관계자는 "이번 금감원 검사는 판매 앞단이 아니라 그 뒷부분, 라임에 투자된 돈이 어떻게 쓰이고 어디로 흘러 들어갔는지에 대한 검사 결과 아니었나"라며 "갑자기 증권사들이 조사 대상이 되니 당황스럽다"고 말했다.
실제로 금감원도 발표 당일 브리핑에서 "과거 검사의 초점은 펀드 환매 중단 사유, 판매사 부당 권유, 불완전 판매 등이었다"며 "이번 태스크포스(TF) 검사는 피투자기업의 횡령 행위에 초점을 맞췄다"고 설명한 바 있다.
그러나 금감원이 특혜성 환매 의혹 대상에 국회의원이 포함돼 있다고 발표하자 모든 관심이 해당 의혹에 집중됐고, 의혹 대상자 중 하나인 김 의원이 미래에셋증권에서 환매 권유를 받았다고 밝히면서 증권사들로 가장 먼저 불똥이 튀었다.
증권업계는 이에 대해서도 억울함을 내비쳤다.
한 업계 관계자는 "2∼3년 전에는 판매사가 펀드 부실 정황을 알아차리지 못해 피해를 키웠다고 비판받았는데, 이제는 증권사가 징후를 눈치채고 환매를 권유해 고객의 피해를 최소화해도 매를 맞으니 어떻게 하라는 건지 모르겠다"고 토로했다.
라임 사태는 2019년 7월 라임의 펀드 수익률 돌려막기 의혹이 제기되며 처음 알려졌고, 곧바로 2019년 8월 금감원이 현장 검사에 착수했다.
이번에 특혜 의혹이 제기된 펀드들은 1차 대규모 환매 중단이 일어난 10월 10일 전에 환매가 이뤄졌지만 그 당시엔 이미 시장에 라임 위기론이 퍼져있었다는 게 금투업계 관계자들의 전언이다.
일각에서는 라임 사태의 '몸통'으로 꼽히는 인물들의 소재가 미궁에 빠져있어 실체 규명이 쉽지 않자 결국 증권사들이 먼저 조사 테이블에 오르게 된 것 아니냐는 시선도 있다.
라임 투자금 상당액을 횡령한 것으로 알려진 김영홍 메트로폴리탄 회장, 라임 투자금으로 인수한 회사들에 주가조작을 벌였다는 이인광 에스모 회장 등은 여전히 행방이 묘연한 상태다.
라임 사태가 3년 만에 다시 수면 위에 올라온 시점도 공교롭다.
NH투자증권과 KB증권, 대신증권은 라임·옵티머스 펀드 사태 관련 최고경영자(CEO)에 대한 금융위원회 제재를 마지막 절차로 앞두고 있어 조만간 나올 결과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금감원은 앞서 제재심의위원회에서 박정림 KB증권 사장, 양홍석 대신증권 부회장, 정영채 NH투자증권 사장에 대해 문책 경고 처분을 내렸다.
/연합뉴스
이번 재검사는 라임자산운용(이하 라임) 피투자기업의 횡령 등 펀드 판매 이후에 이뤄진 위법행위에 초점이 맞춰졌지만, 특혜 환매 의혹 대상에 야당 국회의원이 얽히면서 증권사들이 먼저 조사 선상에 오르자 업계는 당혹스러워하는 분위기다.
3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서울남부지검 금융증권범죄합동수사부(단성한 부장검사)는 지난달 31일 특혜성 환매 의혹에 연루된 미래에셋증권, NH투자증권, 유안타증권 등을 압수수색했다.
이들 증권사는 각각 더불어민주당 김상희 의원과 농협중앙회, 고려아연에 라임 펀드를 판매한 판매사로 알려졌다.
금감원에 따르면 라임은 2019년 10월 대규모 환매 중단 사태가 벌어지기 전인 같은 해 8∼9월 다른 펀드 자금과 운용사 고유자금으로 특정 4개 펀드 투자자에게 환매를 해줬다.
4개 펀드 투자자에 김 의원과 농협중앙회, 고려아연 등 유력인사와 법인이 포함돼 있어 '특혜성 환매' 의혹이 제기됐다.
검찰뿐 아니라 금감원도 지난달 미래에셋증권에 대한 검사에 착수했다.
필요에 따라 다른 판매사로 검사가 확대될 가능성도 있다.
여의도 증권가는 가장 먼저 판매사들이 의혹 전면에 나서게 되자 난감해하는 기색이 역력하다.
한 증권사 관계자는 "이번 금감원 검사는 판매 앞단이 아니라 그 뒷부분, 라임에 투자된 돈이 어떻게 쓰이고 어디로 흘러 들어갔는지에 대한 검사 결과 아니었나"라며 "갑자기 증권사들이 조사 대상이 되니 당황스럽다"고 말했다.
실제로 금감원도 발표 당일 브리핑에서 "과거 검사의 초점은 펀드 환매 중단 사유, 판매사 부당 권유, 불완전 판매 등이었다"며 "이번 태스크포스(TF) 검사는 피투자기업의 횡령 행위에 초점을 맞췄다"고 설명한 바 있다.
그러나 금감원이 특혜성 환매 의혹 대상에 국회의원이 포함돼 있다고 발표하자 모든 관심이 해당 의혹에 집중됐고, 의혹 대상자 중 하나인 김 의원이 미래에셋증권에서 환매 권유를 받았다고 밝히면서 증권사들로 가장 먼저 불똥이 튀었다.
증권업계는 이에 대해서도 억울함을 내비쳤다.
한 업계 관계자는 "2∼3년 전에는 판매사가 펀드 부실 정황을 알아차리지 못해 피해를 키웠다고 비판받았는데, 이제는 증권사가 징후를 눈치채고 환매를 권유해 고객의 피해를 최소화해도 매를 맞으니 어떻게 하라는 건지 모르겠다"고 토로했다.
라임 사태는 2019년 7월 라임의 펀드 수익률 돌려막기 의혹이 제기되며 처음 알려졌고, 곧바로 2019년 8월 금감원이 현장 검사에 착수했다.
이번에 특혜 의혹이 제기된 펀드들은 1차 대규모 환매 중단이 일어난 10월 10일 전에 환매가 이뤄졌지만 그 당시엔 이미 시장에 라임 위기론이 퍼져있었다는 게 금투업계 관계자들의 전언이다.
일각에서는 라임 사태의 '몸통'으로 꼽히는 인물들의 소재가 미궁에 빠져있어 실체 규명이 쉽지 않자 결국 증권사들이 먼저 조사 테이블에 오르게 된 것 아니냐는 시선도 있다.
라임 투자금 상당액을 횡령한 것으로 알려진 김영홍 메트로폴리탄 회장, 라임 투자금으로 인수한 회사들에 주가조작을 벌였다는 이인광 에스모 회장 등은 여전히 행방이 묘연한 상태다.
라임 사태가 3년 만에 다시 수면 위에 올라온 시점도 공교롭다.
NH투자증권과 KB증권, 대신증권은 라임·옵티머스 펀드 사태 관련 최고경영자(CEO)에 대한 금융위원회 제재를 마지막 절차로 앞두고 있어 조만간 나올 결과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금감원은 앞서 제재심의위원회에서 박정림 KB증권 사장, 양홍석 대신증권 부회장, 정영채 NH투자증권 사장에 대해 문책 경고 처분을 내렸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