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소와 알루미늄, 칼슘 등도 예상대로 탐지돼
달표면 8cm 아래 영하 10도…달표면은 영상 50도
인도, 이번엔 "달 남극 표면서 황(黃) 존재 확인"
최근 달 남극에 착륙해 탐사활동을 이어가는 인도 무인 달 탐사선 찬드라얀 3호의 탐사로봇 프라기안이 달 표면에 황(黃)이 존재함을 확인했다.

또 예상된 대로 산소와 알루미늄, 칼슘, 철, 크롬, 티타늄, 망간, 실리콘도 탐지됐다.

30일(현지시간) 힌두스탄타임스 등 인도 매체에 따르면 인도우주연구기구(ISRO)는 전날 소셜미디어 X(옛 트위터)에 올린 글에서 프라기안에 탑재된 '레이저 유도 분광기'(LIBS)를 통해 이같은 성과를 얻었다고 밝혔다.

ISRO는 현재 수소 탐사도 진행중이라고 덧붙였다.

앞서 ISRO는 지난 28일 X에 올린 글에서는 찬드라얀 3호 착륙선 비크람에 탑재된 '찬드라얀 표면 열물리 실험'(ChaSTE) 기기가 첫 번째 관측 결과를 보내왔다며 우측으로 가면서 치솟는 형태의 그래프를 게재했다.

ISRO는 이 그래프는 비크람이 달 위에서 움직이는 동안 측정한 다양한 달 표토(表土·지표면에서 약 15cm 깊이까지의 흙)의 온도로, 달 남극 온도를 잰 것은 이번이 최초라고 설명했다.

또 달 남극 토양 온도를 측정한 결과 달 표면 아래 8cm 깊이의 토양 온도는 영하 10도라고 말했다.

달 표면은 영상 50도로 관측됐는데, 이는 지금까지 과학계가 예상했던 것보다는 훨씬 높은 온도다.

찬드라얀 3호는 지난 23일 인류 최초로 달 남극에 안착했다.

프라기안은 안착 몇 시간 후 착륙선 비크람에서 나와 활동을 개시했다.

프라기안은 달에서는 하루에 해당하는 14일간의 임무를 수행하고 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