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로스아이바이오는 미국 존스홉킨스의대와 급성골수성백혈병(AML) 신약후보물질(파이프라인)의 ‘PHI-101’ 병용요법 확대를 위한 중개연구를 공동 진행한다고 28일 밝혔다.

파로스아이바이오는 도널드 스몰 존스홉킨스의대 종양내과 교수와 함께 PHI-101 및 기존 AML 1차 치료제의 병용요법을 연구하기로 했다. ‘비다자’(성분명 아자시티딘) 혹은 ‘벤클렉스타’(성분명 베네토클락스)와 PHI-101의 병용 시 효능 시험을 진행한다.

도널드 스몰 교수는 AML 분야 전문가로 PHI-101의 표적 단백질인 FLT3 관련 연구를 30년 이상 수행했다. 개발 중인 다수의 FLT3 저해제에 대한 임상 연구도 이끌었다. PHI-101의 글로벌 임상 2상 설계 및 미국 임상 병원 협력 지원 등 임상 관련 자문도 진행 중이다.

현재 PHI-101의 다국적 임상 1b상은 기존의 약물이 듣지 않거나 치료 이후 질환이 재발한 AML 환자군을 대상으로 진행 중이다.

윤정혁 파로스아이바이오 대표는 “PHI-101은 내년 상반기를 목표로 미국 호주 한국을 포함한 글로벌 임상 2상을 준비하고 있다”며 “글로벌 임상 2상 추진을 통해 PHI-101의 조기 사업화를 가속화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파로스아이바이오는 플랫폼 기술 케미버스를 활용해 PHI-101의 적응증 확대를 추진 중이다. AML 외에도 재발성 난소암, 삼중 음성 유방암 치료제 및 방사선 민감제로 개발하겠다는 목표다.

케미버스는 약 62억 건의 단백질 3차원 구조·화합물 빅데이터와 트랜스포머 생성모델 등 최신 인공지능(AI) 알고리즘을 활용하는 플랫폼이다. 신규 표적 예측, 후보물질 도출 및 적응증 확장 등 파로스아이바이오의 자체 신약 개발 과정에서 사용하고 있다.

박인혁 기자 hyuk@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