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수저 부모에게서 자란 자녀, 월급도 더 많다
부모 소득에 따라 4년제 대학 졸업자의 근로소득 및 일자리 질에서 양극화가 나타나고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23일 이정우 한국교육개발원(KEDI) 부연구위원이 작성한 '고등 및 평생교육 분야에서도 양극화는 존재하는가?'라는 KEDI 브리프를 보면 2010∼2019년 10년간 4년제 대졸자의 노동 시장 이행 과정을 분석한 결과, 부모 소득 상위 20%에 해당하는 4년제 대졸자 집단은 부모 소득 하위 20% 집단보다 첫 일자리의 월평균 근로소득이 최고 1.21배(2012년) 높았다.

현재 일자리에서도 월평균 근로소득이 최고 1.23배(2010년)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부모 소득 상·하위 20% 집단 간 월평균 소득 격차는 점차 줄어드는 추세로 나타났다.

두 집단의 월평균 근로소득과 정규직 여부, 4대 보험 가입 등 경제적 단면에서 일자리 질 차이를 분석한 결과 일자리 질은 2010년 기준 첫 일자리에서 상위 20% 집단이 1.18배, 현재 일자리에서 1.20배 높은 것으로 확인됐다. 부모 소득 상위 20% 집단에 속한 대졸자 자녀가 부모 소득 하위 20% 집단보다 경제적 측면에서 더 나은 일자리로 옮겨가고 있다는 의미다.

그러나 경제적 단면의 일자리 질에서도 두 집단의 격차는 점차 축소돼 2019년에는 첫 일자리 질 차이가 1.12배, 현재 일자리에선 1.17배로 각각 분석됐다.

사회적·교육적·심리적 단면의 일자리 질에서도 상대적으로 약하지만, 양극화는 발생해온 것으로 파악됐다.

부모 소득 상위 20% 집단과 하위 20% 집단 간의 사회적·교육적·심리적 단면의 일자리 질 차이는 첫 일자리에서 최고 1.098배(2019년), 현재 일자리에서 최고 1.097배(2017년)로 각각 추정됐다.

이 부연구위원은 "학교 교육과정에서 양극화가 고등 교육 단계 양극화로 어떻게 이어지는지 분석하기 위한 방안이 필요하다"며 "4차 산업혁명, 디지털 전환에 따른 교육환경과 노동시장 구조 변화의 흐름 속에서 고등 교육 분야 양극화는 새 국면에 돌입할 가능성도 있기 때문에 이를 염두에 둔 실태 분석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사진=연합뉴스)


김현경기자 khkkim@wowtv.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