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IST "해수 담수화용 분리막 오염, 약품 없이 막는 기술 개발"
바닷물을 물로 바꾸는 해수 담수화 과정에서 분리막의 오염을 화학약품 대신 생성된 담수로 세척하는 기술이 개발됐다.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은 물자원순환연구단 정성필 책임연구원 연구팀이 이 같은 기술을 개발했다고 20일 밝혔다.

KIST에 따르면 해수를 담수로 만들 때 막 증류 공정을 거친다.

이 공정은 바닷물을 태양열로 가열해 나온 수증기를 분리막을 거치게 한 뒤 응축하는 것으로, 태양열이 없으면 분리막 표면에는 탄산칼슘 등 오염 물질이 쌓이는 '막 오염' 현상이 나타난다.

이 오염 물질을 세척하려면 산이나 염기성 약품을 사용해야 하고, 세척 후에는 그 폐수를 처리하는 과정에서 비용이 추가로 들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연구팀은 막증류 공정이 멈출 때 분리막과 접촉한 채로 남아 있는 해수를 배수하면서, 생산된 담수로 이를 세정하고 건조하는 기술을 개발했다.

그 결과 다음 운전을 시작할 때 막오염이 나타나지 않았고 4회 반복 과정에서도 분리막 성능이 줄어들지 않는 것을 확인했다.

만약 해수를 이런 장치 없이 농축시키면 하루만 운영해도 막오염 현상 때문에 분리막을 다시 활용할 수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연구팀은 설명했다.

정 책임연구원은 "전기 인프라나 운영비 지원이 부족한 개도국 또는 오지에서 태양열만으로 담수화 시스템을 안정적으로 운용할 수 있을 것"이라며 "막증류 공정뿐 아니라 다양한 해수 담수화 공정으로 확장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연구결과는 국제학술지 'npj 클린 워터'에 지난달 5일 실렸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