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차 항체양성률 조사…"백신+자연감염이 면역 가장 오래 지속"
국민 99.2% 코로나19 항체 보유…10명 중 8명이 감염 경험
우리 국민의 99.2%가 코로나19 항체를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국민의 78.6%는 자연감염을 통한 항체를 갖고 있었다.

질병관리청 국립보건연구원은 한국역학회, 지역사회 관계기관과 함께 올해 3월 27일부터 4월 15일까지 전국 5세 이상 국민 9천798명으로 대상으로 수행한 코로나19 항체양성률 3차 조사 결과를 9일 발표했다.

조사 결과 자연감염과 백신 접종을 통한 항체를 합친 전체 항체양성률은 99.2%로 1차 조사(작년 8∼9월) 때의 97.6%, 2차 조사(작년 12월) 때의 98.6%와 비슷한 수준에서 소폭 증가했다.

자연감염을 통한 항체양성률은 78.6%로, 1차 57.2%, 2차 70% 때보다 상승했다.

국민의 10명 중 8명 가까이가 코로나19에 걸린 적이 있고, 그로 인한 항체를 아직 보유하고 있다는 뜻이다.

감염됐으나 확진을 받지 않아 통계에 잡히지 않은 미확진 감염자, 이른바 '숨은 감염자'의 비율은 19.1%로 추정된다.

1차(19.4%), 2차(18.5%) 때와 비슷한 수준이다.

국민 99.2% 코로나19 항체 보유…10명 중 8명이 감염 경험
연령대별로는 백신 접종률이 낮은 5∼9세 소아에서 자연감염 항체양성률이 94.1%로 가장 높았고, 연령이 높을수록 낮아졌다.

다만 50∼64세와 65세 이상의 자연감염 항체양성률은 각각 77%, 68.8%로, 2차 조사 때보다 10% 이상 늘었다.

질병청은 지속적인 백신 접종과 감염 등으로 우리 국민의 전체 항체양성률이 높게 유지되면서 오미크론 유행 이후 코로나19 중증화율과 치명률이 낮아졌다고 평가했다.

다만 항체가는 시간이 경과하면서 감소하기 때문에 재감염 위험은 계속 남아있다.

특히 질병청에 따르면 백신 미접종자는 기존 단가백신 접종자에 비해 2.02배, 개량 2가백신 접종자에 비해서는 3.1배 재감염 위험이 높았다.

백신도 맞고 코로나19에 걸린 적도 있는 '복합면역군'의 면역이 백신만 맞은 집단이나 백신을 안 맞은 채 자연감염 경험만 있는 집단보다 오래 유지됐지만 복합면역 역시 시간에 따라 감소했다.

질병청은 시간이 흐르면 모든 집단에서 면역이 감소해 재감염의 위험이 상존하기 때문에 중증화 예방을 위해 고령층은 감염에 주의하고 백신 추가접종에도 참여해달라고 당부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