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만성질환 적절히 관리하면 노쇠 늦춰 건강한 노년 가능"
허약한 고령층 10년새 절반으로 줄어…만성질환은 2배↑
고령인구가 빠른 속도로 늘고 있는 가운데, 노쇠한 고령층이 10여년 전의 절반 수준으로 줄어들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다만 적절하 건강관리를 해 건강한 노년을 보내는 경우가 많아진 것이다.

다만 만성질환을 앓고 있는 경우는 갑절로 늘었다.

2일 서울아산병원에 따르면 이 병원 정희원(노년내과) 교수·빛고을 전남대병원 강민구(노년내과) 교수팀이 국민건강보험 데이터베이스를 활용해 2008년~2020년 65세 이상 노인 1만7천784명을 분석한 결과, 노쇠한 노인의 비율은 2008년 41.1%에서 2020년 23.1%로 절반 가까이 감소했다.

반면 노쇠하지 않고 건강한 비율은 2008년 28.7%에서 2020년 44.2%로 크게 늘었다.

흔히 '허약'이라고도 불리는 노쇠는 노화와 질병의 축적으로 기능이 감퇴해 스트레스에 취약해진 상태를 뜻한다.

생활 습관이 불규칙적이거나 질병, 약제 복용이 관리되지 않고 신체 활동이 저하되면 노쇠 위험이 증가한다.

연구팀은 ▲ 동반질환 ▲ 기능적 수행능력 ▲ 징후 및 증상 ▲검사 수치 등 4가지 영역 30개 항목을 평가해 노쇠지수를 산출했으며, 그 결과에 따라 건강 단계, 노쇠 전 단계, 노쇠 단계로 분류했다.

조사 기간 노인의 평균 노쇠 지수는 2008년 0.23점에서 2020년 0.18점으로 감소했다.

노쇠 지수가 0.2점 이상이면 노쇠 전 단계로 분류된다.

노화와 만성질환이 겹쳐 걷는 속도가 다소 느려지며 허리가 약간 굽고 근육이 다소 빠진 상태가 여기에 해당한다.

반면 만성질환의 유병률은 그사이 전반적으로 큰 폭으로 늘었다.

이상지질혈증 유병률은 2008년 17.9%에서 2020년 40.9%로 높아졌고, 당뇨병은 20.6%에서 30.0%로, 심혈관질환은 5.6%에서 9.3%로 각각 증가했다.

그런가하면 씹는 데 어려움을 느끼는 노인의 비율은 59.4%에서 33.1%으로 줄었고, 일상적인 활동에 어려움이 있는 비율은 42.2%에서 12.0%로, 흡연자는 17.0%에서 9.3%로 각각 감소했다.

정희원 교수는 "만성질환을 앓는 비율은 늘었지만 젊었을 때와 다름없는 활동적인 일상을 유지하는 노인들이 많다"며 "젊을 때부터 규칙적인 생활 습관과 운동, 금연, 절주, 스트레스 관리 등을 통해 건강관리를 하고 만성질환을 적절히 관리하면 노쇠를 늦춰 건강한 노년을 보낼 수 있다"고 설명했다.

연구 결과는 대한의학회 국제학술지(JKMS, 피인용지수 4.5)에 최근 게재됐다.

허약한 고령층 10년새 절반으로 줄어…만성질환은 2배↑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