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마·GPT 넘었다"…업스테이지 LLM 세계 1위
국내 스타트업이 개발한 생성 AI 모델이 글로벌 머신러닝 플랫폼으로부터 평가점수 1위를 받아 주목을 받고 있다. 허깅페이스 오픈 LLM 리더보드는 전 세계 500여개 오픈 모델들이 추론과 상식능력, 언어 이해 종합능력 및 환각현상 방지 등 4가지 지표의 평균점수로 경쟁하며, 오픈소스 생성 AI 모델의 바로미터로 꼽힌다.

업스테이지는 자사 생성AI 모델이 세계 최대 머신러닝 플랫폼 '허깅페이스'의 '오픈LLM(Large Language Model) 리더보드'에서 72.3점을 획득해 1위를 차지했다고 1일 밝혔다.

이는 오픈AI 챗GPT의 기반이 되는 GPT-3.5의 벤치마크 평가인 71.9점을 넘는 수준이다.

앞서 지난달 업스테이지는 300억 매개변수인 라마(LLaMA)1 모델을 파인튜닝해, 메타가 내놓은 700억 매개변수 '라마(LLaMA)2' 모델을 추월하고 1위를 차지한 바 있다.

이후 미국 스테빌리티 AI의 '스테이블 벨루가2' 모델이 71.4점을 차지하며 1위로 올라섰지만, 업스테이지가 700억 매개변수의 라마 2 모델을 또다시 파인튜닝해 1위를 재탈환한 것이다.

업스테이지는 이번에 인정받은 세계적인 AI 경쟁력을 바탕으로 '프라이빗 AI' 시장 개척에 본격 나설 계획이다. 프라이빗AI는 기업 내부 데이터만을 학습해 정보유출을 막고 잘못된 정보를 생성하는 환각 현상을 방지하는 데 특화된 솔루션으로, 보안이슈 때문에 생성AI도입을 주저하는 기업들에게 매력적인 대체재로 각광받고 있다.

현재 업스테이지는 카카오와 협업하는 Askup 서비스를 비롯해, 한화생명과 삼성생명, 포스코홀딩스, 삼성SDS 등과 OCR 추천 기술 분야에서 협력중이다.

여기에 이번 LLM 기반 프라이빗AI 서비스 역시 현재 이름 있는 기업들과 협업 논의가 진행중인 상황으로, 업스테이지 측은 조만간 구체적인 협업 내용들을 공개할 예정이다.

업스테이지의 김성훈 대표는 “업스테이지의 생성 AI 모델이 챗GPT를 능가하는 성능으로 세계 최고 수준의 기술력을 확인하게 되어 기쁘다”며 “앞으로 업스테이지는 압도적인 기술력을 바탕으로 국내외 프라이빗AI 시장 지배력 강화에 박차를 가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근형기자 lgh04@wowtv.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