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무총장 "우크라 가입 재확약 예상"…회원국 간 수위 두고 이견
방위계획·방산생산 액션플랜도 합의할 듯…韓 등 아태국과 "신기술 협력 강화"
젤렌스키 "가입 확답" 재촉에…정상회의 앞둔 나토 고심 거듭
북대서양조약기구(NATO·나토) 31개국 정상들이 내주 정상회의에서 우크라이나를 나토에 '더 가깝게' 하기 위한 종합대책을 채택할 전망이다.

다만 우크라이나가 바라는 나토 가입에 대한 '확답'의 수위를 두고는 최종 공동성명 문안이 확정되기 전 막판까지 회원국 간 이견이 지속될 것이란 관측이 지배적이다.

옌스 스톨텐베르그 나토 사무총장은 7일(현지시간) 나토 정상회의(11∼12일) 의제 설명을 위한 사전 기자회견에서 "나토 정상들이 3가지 요소로 구성된 패키지에 합의할 것으로 예상한다"고 밝혔다.

우크라이나군을 '나토식 표준'으로 현대화하기 위한 다년간 지원 프로그램, 나토-우크라이나 평의회 첫 회의 등 정치적 연대 강화, 우크라이나의 나토 가입에 대한 재확약 등 세 가지라고 그는 설명했다.

관심사는 '나토 가입 재확약'이 어느 정도 수위로 합의될지다.

스톨텐베르그 사무총장은 아직 공동선언 문안 조율이 진행 중이라며 "정확한 문구는 (정상회의에서) 합의된 이후에 공개될 것"이라고 즉답을 피했다.

나토는 이미 2008년 루마니아 부쿠레슈티에서 열린 정상회의 공동성명에서 우크라이나, 조지아가 "나토 회원국이 될 것이라는 점에 동의했다"고 천명한 바 있다.

명확한 타임라인이 제시되지 않은 원론적 수준의 발언임에도 당시 공동성명에 포함된 문구가 오늘날 러시아와 우크라이나 갈등의 씨앗이 됐다고 전문가들은 분석한다.

그럼에도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은 2008년 선언보다 더 확실한 약속을 해달라고 요구하고 있다.

그것이 곧 확실한 안전보장 방안이 되리라고 인식한다.

젤렌스키 "가입 확답" 재촉에…정상회의 앞둔 나토 고심 거듭
그는 전날 체코 방문 중 기자회견에서도 아직 나토 가입과 관련한 어떠한 초청도 받지 못했다며 "명확한 신호를 달라"고 공개 호소했다.

젤렌스키 대통령은 나토 정상회의에 참석할 예정이다.

그러나 미국, 독일 등 나토 주요 회원국들은 2008년 선언 이상의 확약을 하는 것을 여전히 주저한다고 AFP 통신은 짚었다.

이와 달리 동유럽 회원국들은 종전 이후 우크라이나의 나토 가입 길을 보장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일각에서는 나토 정상들이 추후 우크라이나가 가입 절차에 돌입할 때 원칙적으로 적용되는 엄격한 가입 요건 등을 축소 혹은 간소화하는 방안에 합의할 가능성도 제기하고 있다.

이번 정상회의에서는 냉전 이후 처음으로 종합적인 방위계획도 채택된다.

지역계획(regional plans)으로 명명될 계획은 유럽 및 대서양 지역을 총 3개 구역으로 나눠 러시아 및 테러공격 등에 대한 대비태세 강화를 목표로 한 군사지침서 격이다.

유럽 대서양 역내 방산생산 역량 확대를 위한 '방위생산 액션 플랜'에도 합의할 방침이다.

전반적인 전력 강화를 위해선 투자 확대가 불가피하다는 점에서 2014년 이후 9년 만에 '방위비 지출 가이드라인' 개정도 추진된다.

현재 가이드라인은 '국내총생산(GDP) 대비 2% 지출'로 돼 있는데, 나토는 2% 기준선을 최대치가 아닌 하한선으로 수정하기를 희망하고 있다.

나토에 따르면 올해 기준 31개국 중 11개국만 2% 지출 가이드라인을 달성하거나 초과한 것으로 집계됐다.

젤렌스키 "가입 확답" 재촉에…정상회의 앞둔 나토 고심 거듭
정상회의에는 작년에 이어 2년 연속 한국, 일본, 뉴질랜드, 호주 등 아시아태평양 파트너 4개국 정상도 참석할 예정이라고 나토는 전했다.

스톨텐베르그 사무총장은 "우리의 안보는 지역적이 아닌 글로벌 현안"이라며 해당 국가들과 "사이버 안보, 해상안보, 신기술과 같은 분야에서 협력을 더 강화 중"이라고 전했다.

올해 정상회의에는 지난 4월 합류한 핀란드도 정식 회원국으로 처음 참석한다.

튀르키예, 헝가리의 제동으로 스웨덴은 가입 절차가 지연 중으로, 나토는 정상회의 직전 튀르키예-스웨덴 정상 회동을 추진해 유의미한 결과를 끌어낸다는 계획이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