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장협의회 설문조사 결과…"직급 조정·복지 등 개선 필요"
전북 경찰관들 "현행 자치경찰이원화 참여 안해…제도개선 먼저"
전북경찰청 소속 현장 경찰관 대다수가 국가·지방경찰의 소속을 명확히 분리하는 자치경찰 이원화에 현재 방식으로는 참여하지 않겠다는 의사를 밝혔다.

5일 전북경찰청 직장협의회가 공개한 설문조사 결과에 따르면 응답자 1천437명 중 1천276명(89%)은 조건 없는 자치경찰 이원화에 신분 전환, 파견 형식으로 참여하지 않겠다고 답했다.

질문을 바꿔서 일반행정 공무원과 같은 직급 조정, 복지혜택 부여, 주취자 응급의료센터 등 제도 개선이 이뤄진다면 참여하겠냐고 묻자 906명(63%)이 자치경찰로 전환할 의향이 있다고 했다.

자치경찰 신분 전환에 있어 가장 필요한 사항이 무엇인지에 대해서는 현재 11단계로 나뉜 경찰 계급을 9단계인 일반행정 공무원에 맞춰 형평성 있게 조정해야 한다는 답변이 가장 많았다.

후생 복지 증진, 근무 형태 및 방법 개선, 인사 투명화 등에 대한 요구가 뒤를 이었다.

설문에 참여한 경찰관 중 1천55명(73%)은 경력 15년 이상으로, 경찰행정 발전에 관심이 큰 고참급이라고 직장협의회는 전했다.

전북자치경찰위원회의 일방적 추진으로 일선의 거센 반발을 부른 자치경찰 이원화는 현행 경찰법상 국가경찰과 자치경찰의 사무만 구분한 일원화와 달리, 조직과 인력까지 분리하는 모델을 말한다.

전북경찰청의 경우 소속 경찰관 5천여명 중 교통, 여성·청소년, 생활안전 분야 인력 3천500여명이 지자체 소속으로 넘어가게 된다.

당초 내년부터 자치경찰 이원화를 시범적으로 실시하는 지역은 세종, 강원, 제주였으나 국무총리 직속 자문기구인 경찰제도발전위원회는 지난 4월 전북을 추가하는 안을 정부에 권고했다.

이는 전북자치경찰위원회 건의에 따라 이뤄진 것으로 알려졌다.

직장협의회는 현장 경찰관의 의견을 수렴한 이번 설문조사 결과를 토대로 제도 개선을 위한 공청회를 전북자치경찰위원회에 제안하겠다고 밝혔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