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산림과학원, 2027년까지 연구개발 과제·달성 목표 발표
산불·산사태 AI로 예측…농림위성 활용 산림관리체계 구축
산림청 국립산림과학원이 2027년까지 인공지능(AI)으로 산불·산사태를 예측하고, 농림위성을 활용해 디지털 산림관리체계 구축에 나선다.

국립산림과학원은 5일 정부대전청사에서 기후 위기, 대형 재난·재해 등 국가적 현안을 과학적으로 해결하기 위한 '산림과학 연구 중기(2023∼2027년) 기술개발 실행계획'을 발표했다.

실행계획에 따르면 더 신속·정확한 산불 위험예보와 동시다발 대형산불에 대응할 수 있는 지능형 진화헬기 운영 알고리즘을 산불 확산 예측 시스템에 탑재한다.

산사태 재난 사각지대를 해소하기 위해 정부 부처 간 비탈면 관리체계를 통합해 정교한 위험예측 정보를 제공하고, 드론 등을 활용한 산림병해충 발생 예보를 지방자치단체 등에 전달하는 한편 방제 약제 영향분석과 안전 기준을 제시하는 연구도 강화한다.

국가산림위성정보활용센터를 설립해 2025년 발사될 농림위성에서 산림관측 데이터를 전송받아 한반도 산림을 촘촘하게 모니터링하고, 실시간에 가까운 산림정보 공유 플랫폼을 구축해 제공한다.

목재의 부가가치를 높이고 탄소중립 기여도를 확대하는 한편 산림 순환경영모델을 개발해 임업인의 소득을 높이는 연구를 강화할 계획이다.

이밖에 미세먼지·폭염 등 사회재난을 도시 숲으로 해결하고, 숲에서 누리는 산림복지를 일상화하는 한편 벌과 임업인 모두 좋아하는 밀원수종 발굴·보급 등을 추진할 방침이다.

배재수 국립산림과학원장은 "국내 유일의 국가 산림연구기관으로서 숲과 과학기술로 더 나은 대한민국을 만드는 데 기여하겠다"고 말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