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올해 성장전망 1.6→1.4% 낮췄다…'상저하고' 전망은 유지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KDI·OECD보다 낮은 전망치…상반기 0.9%→ 하반기 1.8% 반등 예상
안정세 접어든 물가 3.5→3.3% 하향…취업자 수 '32만명 증가' 관측 정부가 올해 한국경제 성장률 전망치를 기존 1.6%에서 1.4%로 하향 조정했다.
소비자 물가 상승률은 3.3%, 취업자 증가분은 32만명으로 각각 예상했다.
정부가 4일 발표한 '2023년 하반기 경제정책방향'에 따르면 기획재정부는 올해 실질 국내총생산(GDP) 증가율을 1.4%로 전망했다.
지난해 12월 '2023년 경제정책방향'에서 제시한 전망치(1.6%)보다 0.2%포인트(p) 하향조정한 수치다.
한국개발연구원(KDI)과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국제통화기금(IMF) 등 국내외 주요 싱크탱크들의 전망치인 1.5%보다도 살짝 낮은 수치다.
다만 한국은행 전망치(1.4%)와는 같다.
성장률 전망치를 내린 주요 원인은 대외여건 악화에 따른 수출 부진이다.
올해 상반기 월별 수출은 1월부터 지난달까지 6개월 연속 작년 동월보다 감소했다.
무역수지 역시 5월까지 계속 적자를 기록하다가, 지난달에서야 흑자(11억3천만달러)로 전환했다.
글로벌 반도체 불황이 장기화하고, 중국 리오프닝(경제활동 재개) 효과가 서비스업에 집중되면서 제조업 중심으로 수출이 예상보다 크게 감소한 탓이다.
부동산 경기 위축과 제조업 불황으로 인한 투자 감소도 경제 전망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방기선 기재부 제1차관은 "전반적으로 상반기 경제 흐름을 볼 때 수출이나 투자 부분에서 당초 생각보다 떨어진 부분이 있다"며 "이를 모두 고려해 객관적으로 평가한 결과"라고 설명했다.
정부는 다만 하반기에는 상반기보다 경제 상황이 나아질 것이라는 '상저하고' 전망을 그대로 유지했다.
반도체 경기가 살아나고 수출이 회복되면서 본격적으로 경기 반등 흐름이 나타날 것이라는 판단이다.
반기별로 보면 상반기 0.9%에 그쳤던 성장률이 하반기에는 1.8%까지 상승하고, 이런 흐름이 이어지면서 내년에는 연간 2.4% 성장할 것이라고 분석했다.
방 차관은 "하반기 성장은 상반기보다 큰 폭으로 반등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말했다.
주요 부문 전망치도 조정됐다.
수출(통관기준) 전망치는 당초 '4.5% 감소'에서 '6.6% 감소'로 하향 조정됐다.
수입도 '6.4% 감소'에서 '8.6% 감소'로 조정했다.
경상수지는 수출 회복으로 인한 상품수지 개선과 해외여행 확대로 인한 서비스수지 악화가 맞물리면서 230억달러의 흑자를 낼 것으로 전망됐다.
민간소비는 기존과 똑같이 2.5% 증가 전망을 유지했다.
외부활동 증가와 양호한 고용, 소비심리 개선에 힘입어 대면서비스업 중심으로 완만한 회복세가 이어질 것으로 봤다.
반도체 감산 및 고금리의 영향으로 설비투자는 1.2% 감소, 이연된 공사 재개 등의 효과로 건설투자는 0.6% 증가할 것으로 전망했다.
소비자물가 상승률 전망치는 기존 3.5%에서 3.3%로 소폭 하향 조정됐다.
에너지·곡물 등 국제 원자재 가격이 하락하고, 농산물 작황이 개선되면서 전반적인 물가가 당초 예상보다 빠르게 안정세 접어든 흐름을 반영한 것이다.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1월 5.2%를 시작으로 2월 4.8%, 3월 4.2%, 4월 3.7%, 5월 3.3%로 둔화하고 있다.
정부는 향후에도 물가 안정세가 계속될 것으로 보고 있다.
6∼7월에는 물가 상승률이 2%대로 내려설 것이라는 관측도 내놨다.
다만 기상 여건과 우크라이나 전쟁 등 지정학적 리스크에 따른 국제 원자재 가격의 불확실성은 여전한 상황이다.
전기·가스요금을 비롯한 공공요금 인상 압력도 불안 요소로 꼽힌다.
방 차관은 "향후 거시정책은 물가 안정에 유의하면서 실물경제 금융시장 상황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운영하겠다"고 설명했다.
올해 취업자 수 전망은 기존 10만명 증가에서 32만명 증가로 대폭 상향됐다.
상반기의 견조한 고용 증가세가 하반기에도 이어지면서 당초 예상을 큰 폭으로 상회할 것이라는 분석이다.
올해 상반기 월별 취업자 수는 1월 41만1천명을 시작으로 2월(31만2천명), 3월(46만9천명), 4월(35만4천명), 5월(35만1천명)까지 5개월 연속 증가 폭이 30만명대를 넘겼다.
코로나19 종식에 따른 대면서비스 확대와 고령층 돌봄수요 증가로 서비스업과 보건복지업을 중심으로 '고용 서프라이즈'가 나타났다.
여성 및 고령층의 노동 공급 확대 등 구조적인 요인도 고용 증가를 뒷받침했다.
정부는 이러한 취업자 증가세가 이어지면서 고용률은 작년보다 0.4%포인트 상승하고, 실업률은 0.2%포인트 하락할 것으로 전망했다.
/연합뉴스
안정세 접어든 물가 3.5→3.3% 하향…취업자 수 '32만명 증가' 관측 정부가 올해 한국경제 성장률 전망치를 기존 1.6%에서 1.4%로 하향 조정했다.
소비자 물가 상승률은 3.3%, 취업자 증가분은 32만명으로 각각 예상했다.
정부가 4일 발표한 '2023년 하반기 경제정책방향'에 따르면 기획재정부는 올해 실질 국내총생산(GDP) 증가율을 1.4%로 전망했다.
지난해 12월 '2023년 경제정책방향'에서 제시한 전망치(1.6%)보다 0.2%포인트(p) 하향조정한 수치다.
한국개발연구원(KDI)과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국제통화기금(IMF) 등 국내외 주요 싱크탱크들의 전망치인 1.5%보다도 살짝 낮은 수치다.
다만 한국은행 전망치(1.4%)와는 같다.
성장률 전망치를 내린 주요 원인은 대외여건 악화에 따른 수출 부진이다.
올해 상반기 월별 수출은 1월부터 지난달까지 6개월 연속 작년 동월보다 감소했다.
무역수지 역시 5월까지 계속 적자를 기록하다가, 지난달에서야 흑자(11억3천만달러)로 전환했다.
글로벌 반도체 불황이 장기화하고, 중국 리오프닝(경제활동 재개) 효과가 서비스업에 집중되면서 제조업 중심으로 수출이 예상보다 크게 감소한 탓이다.
부동산 경기 위축과 제조업 불황으로 인한 투자 감소도 경제 전망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방기선 기재부 제1차관은 "전반적으로 상반기 경제 흐름을 볼 때 수출이나 투자 부분에서 당초 생각보다 떨어진 부분이 있다"며 "이를 모두 고려해 객관적으로 평가한 결과"라고 설명했다.
정부는 다만 하반기에는 상반기보다 경제 상황이 나아질 것이라는 '상저하고' 전망을 그대로 유지했다.
반도체 경기가 살아나고 수출이 회복되면서 본격적으로 경기 반등 흐름이 나타날 것이라는 판단이다.
반기별로 보면 상반기 0.9%에 그쳤던 성장률이 하반기에는 1.8%까지 상승하고, 이런 흐름이 이어지면서 내년에는 연간 2.4% 성장할 것이라고 분석했다.
방 차관은 "하반기 성장은 상반기보다 큰 폭으로 반등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말했다.
주요 부문 전망치도 조정됐다.
수출(통관기준) 전망치는 당초 '4.5% 감소'에서 '6.6% 감소'로 하향 조정됐다.
수입도 '6.4% 감소'에서 '8.6% 감소'로 조정했다.
경상수지는 수출 회복으로 인한 상품수지 개선과 해외여행 확대로 인한 서비스수지 악화가 맞물리면서 230억달러의 흑자를 낼 것으로 전망됐다.
민간소비는 기존과 똑같이 2.5% 증가 전망을 유지했다.
외부활동 증가와 양호한 고용, 소비심리 개선에 힘입어 대면서비스업 중심으로 완만한 회복세가 이어질 것으로 봤다.
반도체 감산 및 고금리의 영향으로 설비투자는 1.2% 감소, 이연된 공사 재개 등의 효과로 건설투자는 0.6% 증가할 것으로 전망했다.
소비자물가 상승률 전망치는 기존 3.5%에서 3.3%로 소폭 하향 조정됐다.
에너지·곡물 등 국제 원자재 가격이 하락하고, 농산물 작황이 개선되면서 전반적인 물가가 당초 예상보다 빠르게 안정세 접어든 흐름을 반영한 것이다.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1월 5.2%를 시작으로 2월 4.8%, 3월 4.2%, 4월 3.7%, 5월 3.3%로 둔화하고 있다.
정부는 향후에도 물가 안정세가 계속될 것으로 보고 있다.
6∼7월에는 물가 상승률이 2%대로 내려설 것이라는 관측도 내놨다.
다만 기상 여건과 우크라이나 전쟁 등 지정학적 리스크에 따른 국제 원자재 가격의 불확실성은 여전한 상황이다.
전기·가스요금을 비롯한 공공요금 인상 압력도 불안 요소로 꼽힌다.
방 차관은 "향후 거시정책은 물가 안정에 유의하면서 실물경제 금융시장 상황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운영하겠다"고 설명했다.
올해 취업자 수 전망은 기존 10만명 증가에서 32만명 증가로 대폭 상향됐다.
상반기의 견조한 고용 증가세가 하반기에도 이어지면서 당초 예상을 큰 폭으로 상회할 것이라는 분석이다.
올해 상반기 월별 취업자 수는 1월 41만1천명을 시작으로 2월(31만2천명), 3월(46만9천명), 4월(35만4천명), 5월(35만1천명)까지 5개월 연속 증가 폭이 30만명대를 넘겼다.
코로나19 종식에 따른 대면서비스 확대와 고령층 돌봄수요 증가로 서비스업과 보건복지업을 중심으로 '고용 서프라이즈'가 나타났다.
여성 및 고령층의 노동 공급 확대 등 구조적인 요인도 고용 증가를 뒷받침했다.
정부는 이러한 취업자 증가세가 이어지면서 고용률은 작년보다 0.4%포인트 상승하고, 실업률은 0.2%포인트 하락할 것으로 전망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