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혼자 벌어선 못 살아"…맞벌이가구 역대 최대
맞벌이 가구 비중이 증가세를 이어가 역대 최대치를 기록했다. 특히 50대 이하 부부의 절반 이상은 맞벌이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통계청은 2022년 하반기 지역별고용조사 맞벌이 가구 및 1인 가구 취업 현황을 20일 발표했다.

이에 따르면 작년 하반기(10월) 기준 맞벌이 가구는 584만6천 가구로 1년 전보다 2만 가구 증가했다.

전체 유배우 가구(1천269만1천 가구) 가운데 차지하는 비중은 46.1%로 0.2%포인트(p) 늘었다. 이는 관련 통계가 현 기준으로 개편된 2015년 이후 역대 가장 컸다.

작년 하반기 고용 시장의 호조세 등으로 부부 모두가 일하는 가구의 비중도 늘었다는 게 통계청의 분석이다.

가구주 연령별로 맞벌이 가구 비중 증가율을 보면 15∼29세(7.3%p), 30대(0.8%p), 40대(0.4%p), 50대(0.0%p) 등 전 연령대에서 커졌다.

비중은 50대(55.2%)와 40대(55.2%)에서 전 연령대 가운데 가장 컸다. 30대(54.2%)와 15∼29세(50.1%) 등이 뒤를 이었다. 15세∼59세 부부 절반 이상이 맞벌이를 하는 셈이다. 60세 이상 부부 중에는 31.1%가 맞벌이를 해 비중이 1년 전보다 0.5%p 늘었다.

18세 미만 자녀가 있는 맞벌이 가구는 216만8천 가구로 1년 전보다 7만9천 가구 감소했다.

18세 미만 자녀를 둔 유배우 가구(406만9천 가구) 가운데 비중은 53.3%로 1년 전과 동일했다.

막내 자녀의 연령별로 보면 맞벌이 가구는 7∼12세(78만3천 가구), 6세 이하(77만8천 가구), 13∼17세(60만7천 가구) 순으로 많았다.

유배우 가구 대비 맞벌이 비중은 13∼17세(59.4%), 7∼12세(55.6%), 6세 이하(47.5%) 순으로 컸다.

자녀 수별로 보면 1명(53.9%), 2명(53.3%), 3명 이상(49.5%) 순으로, 자녀가 많을수록 맞벌이 가구 비중이 작았다.

막내 자녀 연령이 18세 미만인 가구를 대상으로 전체 자녀 수를 집계한 점, 자녀가 3명 이상인 맞벌이 가구 수가 적은 점 등에 따라 해당 통계의 변동성이 크다고 통계청은 설명했다.
"혼자 벌어선 못 살아"…맞벌이가구 역대 최대
작년 하반기 1인 가구는 722만4천 가구로 1년 전보다 18만4천 가구 늘었다.

이중 취업 가구는 455만5천 가구로 20만4천 가구 증가했다. 1인 가구 중 취업 가구 비중은 1.3%p 상승한 63.1%였다. 작년 하반기 고용 시장 호조에 1인 취업 가구 비중도 관련 통계가 현 기준으로 개편된 2015년 이후 역대 가장 컸다.

연령별로 보면 1인 취업 가구는 30대(107만1천 가구), 60세 이상(96만9천 가구), 15∼29세(93만6천 가구) 순으로 많았다.

1인 가구 중 취업 가구 비중은 30대(88.0%), 40대(82.4%), 50대(73.3%), 15∼29세(66.6%), 60세 이상(37.8%) 순이었다.

1년 전과 비교해 30대(2.4%p), 15∼29세(2.1%p) 등 전 연령대에서 비중이 커졌다.

1인 임금근로자 가구의 임금 수준을 보면 월평균 임금이 200만원 이상 300만원 미만인 가구 비율이 35.3%로 가장 많았고 300만∼400만원(23.7%), 400만원 이상(17.5%), 100만∼200만원(12.9%) 등이 뒤를 이었다.

월급이 100만원 미만인 가구는 10.7%였다. 혼자 살아가는 임금근로자 10명 중 1명은 월급이 100만원에 못 미치는 것이다.

산업별로 보면 월평균 임금이 100만원에 미치지 못하는 가구 비중은 보건업 및 사회 복지 서비스업(33.3%), 공공행정·국방 및 사회 보장행정(30.6%), 농업·임업 및 어업(26.5%) 등에서 컸다. 주로 취업 시간이 짧고 고령 취업자가 많은 산업에서 비중이 큰 것으로 풀이된다.

(사진=연합뉴스)


김현경기자 khkkim@wowtv.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