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아침의 소설가] '노인을 위한 나라는 없다'…미국 현대문학의 거장, 故 코맥 매카시
“서부극을 문학의 영역으로 끌어들였다.”

지난 13일 세상을 떠난 미국 소설가 코맥 매카시(1933~2023)에 대한 평가다. 그는 미국 동부에서 태어났지만 성인이 된 뒤 서부에 매료되고 말았다. 서부의 광활하지만 삭막한 자연은 아름다움과 경외감, 공포심을 동시에 불러일으켰다. 모험과 정착, 폭력의 역사가 깃든 곳이었다. 인간 본성의 어두운 면을 탐구하는 작가인 그에게 서부만큼 좋은 배경은 없었다.

1985년 펴낸 <핏빛 자오선>이 대표적이다. 그의 최고작으로 꼽히는 이 소설은 서부 개척 시대를 배경으로 한 소년이 폭력으로 점철된 세계에서 성장해가는 과정을 그렸다. 1992년 국경 3부작의 첫 번째 책인 <모두 다 예쁜 말들>은 베스트셀러에 오른 것은 물론 미국도서상을 받으며 상업적·비평적으로 큰 성공을 거뒀다. 영화로 제작된 <노인을 위한 나라는 없다>, 그에게 퓰리처상을 안겨준 <더 로드>도 유명하다. 잔인하고 폭력적이란 비판을 듣기도 했지만 그가 보기엔 그게 우리가 사는 세상이었다. 그는 한 인터뷰에서 “유혈이 없는 삶이란 있을 수 없다”며 “모두가 조화롭게 살 수 있다는 생각은 정말 위험한 생각”이라고 말하기도 했다.

임근호 기자 eige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