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료기관 수용여부 문의에 지연"…'응급실 뺑뺑이' 방지 중장기대책
구급차 이송지연 3년간 4배↑…"119-병원 환자정보 실시간 공유"
소방청이 이른바 '응급실 뺑뺑이'를 막기 위해 환자를 이송하는 구급대가 여러 의료기관과 동시에 환자 정보를 실시간으로 공유할 수 있게 하기로 했다.

소방청은 15일 이런 내용의 '이송 지연 최소화를 위한 중장기 계획'을 발표했다.

119구급대는 지난해 환자 약 200만명을 이송했는데, 이중 현장에서 병원에 도착하는 데 1시간 걸린 이송 지연 건수는 1만6천939건으로 2019년(4천332건) 대비 4배 가까이 늘었다.

소방청은 코로나19 기간 발열 등 감염병 증상을 보이는 환자를 의료기관에 수용할 수 있는지 구급대원이 문의 전화를 하면서 시간이 지연된 것으로 분석했다.

최근 응급 의료시설에 근무하는 의사가 줄어 응급 환자를 수용하지 못한 영향도 있다고 봤다.

소방청은 자체 추진할 수 있는 단기 과제와 연내 추진할 중기 과제, 보건복지부 등 관계기관과 협의가 필요한 장기과제 등 단계별로 대책을 추진하기로 했다.

단기과제로는 지자체, 소방 당국, 응급의료기관이 참여하는 지역응급의료협의체를 내실화해 지역별 실정에 맞는 이송 지침을 마련, 지역 응급의료기관 간 역할 분담 체계를 정비한다.

또 응급환자 병원 선정을 조정하는 시도 119구급상황관리센터가 역할을 제대로 수행하도록 인력을 보강하고 직제를 신설한다.

구급대 이송 병원 선정 기준을 재정비하고 119구급대원 현장응급처치 표준지침 준수를 위한 교육도 강화한다.

중기과제로는 의료기관의 환자분류체계(KTAS)와 호환되는 119구급대 환자분류체계(PRE-KTAS)를 도입해 병원 단계와 병원 전 단계의 환자분류 기준을 통일하는 방안을 연내 추진한다.

의료기관은 환자를 가장 위급한 순서부터 1∼5단계로 나누는데, 119구급대는 총 4단계로 나눠 분류 체계가 맞지 않는 문제가 있었다.

경증 환자는 지역 응급의료 기관으로, 중증 응급환자는 지역·권역 응급의료센터로 이송해 센터급 이상의 응급실 과밀화를 해소한다.

또 구급대의 구급 단말기와 의료기관 전산시스템을 연동해 구급대에서 환자 정보를 다수의 인근 의료기관에 실시간으로 공유할 수 있도록 한다.

의료기관에서는 환자 수용 가능 여부를 구급대에 전송해 구급대원이 환자 수용 가능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병원에 전화하는 횟수를 줄인다.

이와 함께 구급 상황관리센터의 역량을 높이기 위해 응급의료 상담 표준 매뉴얼을 정비하고 상담요원 교육과정을 개설한다.

장기적으로는 구급 지도 의사 인력을 보강해 119구급상황관리센터의 병원 선정 및 조정 과정의 전문성을 높인다.

119구급대를 이용하지 않고 3차 병원 응급실을 찾는 경증 환자 관리 방안은 지난 13일 관계부처와 응급의료기관, 학회 등이 모여 발족한 중앙응급의료정책추진단의 협의로 개선해 나갈 예정이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