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오지 말라고 빌 수밖에"…더딘 대책에 올해도 물난리 공포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작년 수해 겪은 상도동·신림동 주민들 "물막이판 생겼지만 효과 의문"
빗물터널 등 장기대책 '5%' 진행…전문가 "일관된 침수대책 필요" "억 단위의 손해를 봤고 비만 오면 걱정이 앞서지만 그래도 이렇게 장사하고 있습니다.
단골손님은 목숨을 잃으셨어요.
"
서울 동작구 성대전통시장에서 생활용품 마트를 운영하는 서영재(39)씨는 반지하 주택에서 50대 여성 A씨가 목숨을 잃은 지난해 8월8일 저녁을 생생히 기억했다.
141.5㎜의 폭우에 물이 허벅지까지 차올랐다.
펌프기 3대를 돌려도 물이 차는 속도가 더 빨라 역부족이었다.
흙탕물과 오물이 덮쳐 330㎡(100평) 가까이 되는 매장에 건질 물건이 없었다고 한다.
그는 "물난리를 겪고 바로 물막이판을 설치했지만 지하는 물이 넘쳐 들어오는 것보다 하수구에서 역류하는 문제가 더 크다"며 "작년과 비교해 체감하는 변화는 저 물막이판 하나인데 배수시설 확장 공사는 진행 중인지 모르겠다"고 씁쓸하게 말했다.
지난해 인명사고가 난 상도동 반지하 주택 주변에 거주하는 김모(86)씨는 빗소리만 들려도 걱정이 앞선다.
김씨는 "빗물이 방에 들이치는데 다리가 불편해 집 밖으로 나갈 수 없었다.
집주인이 데리러 와 겨우 대피할 수 있었다"며 "작년처럼 집주인이 대피시키지 않으면 어떡하나.
비 내리지 말라고 비는 수밖에 없다"고 한숨을 내쉬었다. 지난 12일 만난 지역 주민들과 상인들은 물막이판 등 기존 대책으로는 폭우 피해를 막을 수 없다며 근본적인 대책을 요구했다.
한 주민은 물막이판을 가리키며 "물이 허벅지까지 차오르는데 물막이판은 50㎝도 채 안 된다.
물막이판을 설치한다 한들 물이 역류하는 건 막을 수 없다"고 지적했다.
성대전통시장에서 떡집을 운영하는 오형균(78)씨는 "신대방삼거리역 쪽으로 갈수록 땅이 조금씩 낮아진다.
물이 저지대에서 빠르게 빠지지 못하니 역류하는 것"이라며 "역류방지기 설치가 문제가 아니라 전체 배수능력을 높여야 한다"고 말했다.
도림천과 가까운 관악구 관악신사시장 상황도 마찬가지다.
이곳에서 30년째 속옷가게를 운영하는 홍혜자(80)씨는 "며칠 전 공무원이 와서 물막이판을 설치하겠냐고 묻더니 오늘에서야 서명한 서류를 받아 갔다"며 "올해는 비가 더 많이 내린다는데 달라진 건 없다"고 토로했다.
홍씨는 "고지대에서 내려오는 물보다 저지대에서 역류해 올라오는 물이 더 무서웠다.
둘이 합쳐져 피해가 컸다"며 "물막이판 효과가 있을지는 모르겠다"고 말했다. 정부와 서울시는 취약지역에 물막이판 등 침수방지시설을 설치하는 단기대책과 광화문·강남역 대심도 저류시설(빗물터널), 도림천·대방천 지하 방수로를 건설하는 장기대책을 추진 중이다.
또다시 장마가 코앞으로 다가왔지만 사업은 더디다.
이달 5일 기준 침수피해 우려가 큰 서울의 반지하주택 약 2만호 중 침수방지시설 설치이 설치된 곳은 약 30%에 그친다.
대심도 저류시설은 기본계획 수립 단계다.
서울시 관계자는 "작년 11월부터 시작한 대심도 관련 기본계획이 아직 마무리되지 않았다"며 "기본계획이 완료돼야 설계를 발주할 수 있다.
대심도 완공을 100%로 친다면 5% 수준"이라고 전했다.
기후변화로 갈수록 잦은 집중호우가 예상되는 만큼 신속하고 일관된 도시침수 대책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공하성 우석대 소방방재학과 교수는 "물막이판, 역류방지기, 이동식 방범창 등 단기 대책과 배수용량 확보 같은 중·장기 대책이 함께 추진돼야 침수 피해를 제대로 막을 수 있다"며 "지자체장과 시장, 나아가 정권이 바뀌더라도 수해방지 정책을 축소하거나 재검토하는 일은 없어야 한다"고 말했다.
/연합뉴스
빗물터널 등 장기대책 '5%' 진행…전문가 "일관된 침수대책 필요" "억 단위의 손해를 봤고 비만 오면 걱정이 앞서지만 그래도 이렇게 장사하고 있습니다.
단골손님은 목숨을 잃으셨어요.
"
서울 동작구 성대전통시장에서 생활용품 마트를 운영하는 서영재(39)씨는 반지하 주택에서 50대 여성 A씨가 목숨을 잃은 지난해 8월8일 저녁을 생생히 기억했다.
141.5㎜의 폭우에 물이 허벅지까지 차올랐다.
펌프기 3대를 돌려도 물이 차는 속도가 더 빨라 역부족이었다.
흙탕물과 오물이 덮쳐 330㎡(100평) 가까이 되는 매장에 건질 물건이 없었다고 한다.
그는 "물난리를 겪고 바로 물막이판을 설치했지만 지하는 물이 넘쳐 들어오는 것보다 하수구에서 역류하는 문제가 더 크다"며 "작년과 비교해 체감하는 변화는 저 물막이판 하나인데 배수시설 확장 공사는 진행 중인지 모르겠다"고 씁쓸하게 말했다.
지난해 인명사고가 난 상도동 반지하 주택 주변에 거주하는 김모(86)씨는 빗소리만 들려도 걱정이 앞선다.
김씨는 "빗물이 방에 들이치는데 다리가 불편해 집 밖으로 나갈 수 없었다.
집주인이 데리러 와 겨우 대피할 수 있었다"며 "작년처럼 집주인이 대피시키지 않으면 어떡하나.
비 내리지 말라고 비는 수밖에 없다"고 한숨을 내쉬었다. 지난 12일 만난 지역 주민들과 상인들은 물막이판 등 기존 대책으로는 폭우 피해를 막을 수 없다며 근본적인 대책을 요구했다.
한 주민은 물막이판을 가리키며 "물이 허벅지까지 차오르는데 물막이판은 50㎝도 채 안 된다.
물막이판을 설치한다 한들 물이 역류하는 건 막을 수 없다"고 지적했다.
성대전통시장에서 떡집을 운영하는 오형균(78)씨는 "신대방삼거리역 쪽으로 갈수록 땅이 조금씩 낮아진다.
물이 저지대에서 빠르게 빠지지 못하니 역류하는 것"이라며 "역류방지기 설치가 문제가 아니라 전체 배수능력을 높여야 한다"고 말했다.
도림천과 가까운 관악구 관악신사시장 상황도 마찬가지다.
이곳에서 30년째 속옷가게를 운영하는 홍혜자(80)씨는 "며칠 전 공무원이 와서 물막이판을 설치하겠냐고 묻더니 오늘에서야 서명한 서류를 받아 갔다"며 "올해는 비가 더 많이 내린다는데 달라진 건 없다"고 토로했다.
홍씨는 "고지대에서 내려오는 물보다 저지대에서 역류해 올라오는 물이 더 무서웠다.
둘이 합쳐져 피해가 컸다"며 "물막이판 효과가 있을지는 모르겠다"고 말했다. 정부와 서울시는 취약지역에 물막이판 등 침수방지시설을 설치하는 단기대책과 광화문·강남역 대심도 저류시설(빗물터널), 도림천·대방천 지하 방수로를 건설하는 장기대책을 추진 중이다.
또다시 장마가 코앞으로 다가왔지만 사업은 더디다.
이달 5일 기준 침수피해 우려가 큰 서울의 반지하주택 약 2만호 중 침수방지시설 설치이 설치된 곳은 약 30%에 그친다.
대심도 저류시설은 기본계획 수립 단계다.
서울시 관계자는 "작년 11월부터 시작한 대심도 관련 기본계획이 아직 마무리되지 않았다"며 "기본계획이 완료돼야 설계를 발주할 수 있다.
대심도 완공을 100%로 친다면 5% 수준"이라고 전했다.
기후변화로 갈수록 잦은 집중호우가 예상되는 만큼 신속하고 일관된 도시침수 대책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공하성 우석대 소방방재학과 교수는 "물막이판, 역류방지기, 이동식 방범창 등 단기 대책과 배수용량 확보 같은 중·장기 대책이 함께 추진돼야 침수 피해를 제대로 막을 수 있다"며 "지자체장과 시장, 나아가 정권이 바뀌더라도 수해방지 정책을 축소하거나 재검토하는 일은 없어야 한다"고 말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