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타냐후 "미국, '미니 딜' 결심"…이란 "한국 동결 자금 수주 내 결과"
美·이란 부인에도 꺼지지 않는 핵협상 '임시 합의설'
미국과 이란 양측의 부인에도 핵협상과 관련한 임시 합의설이 지속해서 제기되고 있다.

조 바이든 미국 행정부 출범 후 2021년부터 시작한 핵합의(JCPOA·포괄적 공동행동계획) 복원 회담은 1년 넘게 교착에 빠진 상황이다.

양측은 이란 혁명수비대(IRGC) 테러 조직 지정 해제, 이란 내 미신고 지역 핵물질 문제 등에서 이견을 좁히지 못했다.

냉랭했던 양국의 기류에 최근 변화 조짐이 나타났고, 해외 이란 자금 동결 해제·이란 내 외국인 수감자 석방이 잇따라 이뤄졌다.

이 같은 조치는 이란과 서방의 협상에서 긍정적인 신호로 해석된다.

이란 일간 케이한은 14일(현지시간) 정부 관리를 인용해 "외무부와 중앙은행(CBI)의 노력으로 한국 등에 묶인 이란 자금 문제에 상당한 진전이 있었다"며 "앞으로 수주 안에 실질적인 결과가 있을 것"이라고 보도했다.

앞서 이라크는 미국의 허가를 받아 자국 내 동결된 이란 자금 27억 달러에 대한 동결을 해제한다고 밝힌 바 있다.

이날 이스라엘 일간 예루살렘포스트는 베냐민 네타냐후 총리가 의회 외교위원회에서 미국이 이란과 핵 관련 임시 합의를 맺기로 결정했다고 말했다고 전했다.

네타냐후 총리는 미국이 추진하는 임시 합의를 '미니 딜'(부분 타결)이라고 묘사하면서 "문서로 작성되는 공식 합의는 아닐 것"이라고 예상했다.

그는 미국이 이란과 어떤 합의를 맺더라도 이스라엘의 의무는 없을 것이라면서 "우리는 자신을 지키기 위한 모든 수단을 동원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美·이란 부인에도 꺼지지 않는 핵협상 '임시 합의설'
이스라엘은 핵합의 복원은 이란의 핵무기 개발을 중단시키는 것이 아니라 연기하는 것에 불과하다며 협상에 반대해왔다.

네타냐후 총리의 이 같은 발언은 미국과 이란 양측이 '임시 합의' 혹은 '중간 합의' 추진을 부인한 가운데 나왔다.

나세르 칸아니 대변인은 지난 12일 "미국과 수감자 교환 협상을 진행하고 있다"면서도 '임시 합의'를 위한 협상은 없다고 선을 그었다.

미국 국무부도 이란과의 임시 합의설을 일축했다.

지난 8일 중동 전문 매체인 미들이스트아이(MEE)는 복수의 소식통을 인용해 미국과 이란이 임시 합의를 추진한다고 보도한 바 있다.

보도에 따르면 임시 합의는 이란이 우라늄 농축 농도를 60% 이하로 유지하고, 국제원자력기구(IAEA) 핵 사찰을 허용하는 대신 하루 100만 배럴의 원유 수출을 보장받는 내용을 골자로 한다.

또 이란은 한국과 이라크 등 해외에 동결된 이란 자금 약 170억 달러도 회수할 수 있게 된다.

2015년 타결한 기존 핵합의는 이란이 농축할 수 있는 우라늄 농도를 3.67%로 제한하고 대이란 제재를 해제하는 내용을 골자로 한다.

이란 현지에서도 미국과 일정 수준의 합의가 있을 것이라는 기대가 확산하고 있다.

아야톨라 세예드 알리 하메네이 이란 최고지도자는 지난 11일 "이란의 원자력 산업 인프라가 유지된다면 서방과의 핵합의도 문제가 없다"고 언급했다.

미국과의 협상 타결 기대감이 커지면서 최근 끝을 모르고 추락하던 이란 리알화의 통화 가치도 안정세를 보이고 있다.

그러나 과거에도 미국과 이란의 협상 타결이 임박했다거나 한국 등에서 동결된 자금이 풀릴 것이라는 보도가 나왔지만 실현되지 않았던 적이 종종 있었다는 점에서 추이를 좀 더 지켜봐야 한다는 지적도 제기된다.

美·이란 부인에도 꺼지지 않는 핵협상 '임시 합의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