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SJ "이윤 확대·대만 충돌 대비…캐나다·인니·남미 등 업체 접촉"
폭스바겐, 전기차배터리 '탈중국'에 총력…"의존도 50% 이하로"
독일 자동차업체 폭스바겐이 미국·유럽에서 판매하는 전기자동차 배터리의 중국 의존도를 낮추기 위해 캐나다나 인도네시아 등지에서 새 공급처를 물색하고 있다고 월스트리트저널(WSJ)이 4일(현지시간) 보도했다.

폭스바겐 이사이자 최고 기술 책임자(CTO)인 토마스 슈말은 궁극적으로 폭스바겐은 중국 바깥에 있는 배터리 공장 공급 루트를 확보함으로써 중국에 의존하지 않아도 문제없는 상황을 만들려고 한다고 배경을 설명했다.

현재 100%라 할 수 있는 유럽·북미 배터리공장의 중국산 부품 의존도를 50%로 줄이거나 아예 없애는 것까지 염두에 두고 있다는 것이다.

WSJ은 폭스바겐뿐만 아니라 다른 서방 자동차사들도 중국으로부터 자유로운 배터리 공급망 구축을 모색하고 있다고 전했다.

전기차의 가치를 결정하는 핵심 요소인 배터리를 자체 생산할 수 있다면 가져갈 이윤도 더 늘어날 것이라는 계산에서다.

지난 10년에 걸쳐 중국은 리튬과 코발트, 니켈의 주요 공급원을 확보하고 이 원료를 가공·정제할 국내 산업 기반을 다져왔다.

업계 추산에 따르면 세계 리튬 가공량 전체에서 중국이 차지하는 비중은 크지 않지만, 전기차 배터리에 쓰이는 정제 배터리 소재의 경우 대부분의 생산이 중국에 의해 이뤄지고 있다.

이런 전략이 통하면서 중국 배터리 제조업체들은 세계 전기차 배터리 시장의 절반 이상을 지배할 수 있게 됐다는 게 업계의 분석이다.

BMW의 사장을 지낸 이안 로버트슨은 "그들(중국 업체들)은 광산부터 정제까지 모든 원자재를 통제한다"며 "마음만 먹으면 세계 나머지 국가의 목을 조를 수 있다"고 말했다.

서방 자동차 업계가 '배터리 독립'을 모색하는 건 우크라이나 전쟁의 영향 때문이라고 WSJ은 짚었다.

개전 후 러시아에 대한 국제 제재로 가스 공급이 막히면서 업계와 정부는 대체 공급원을 찾아야 했는데, 중국의 대만 공격으로 비슷한 상황이 다시 벌어질 수 있으므로 미리 자구책을 마련해야 한다는 것이다.

폭스바겐은 전체 판매량의 39%를 중국에서 소화한다.

그러나 중국 국내 업체들의 성장으로 차츰 거센 도전에 직면하고 있는 것도 사실이다.

폭스바겐은 미국 내 시장점유율을 높이고 공급망을 단축해 지정학적 긴장 상황에 대비할 계획도 갖고 있다고 WSJ은 전했다.

폭스바겐이 쓸 천연자원과 배터리 핵심 원료 공급망 다변화 작업은 지난해 설립된 자회사 파워코(PowerCo)가 담당하고 있다.

다만 독립 시도는 점진적으로 이뤄질 전망이다.

우선 중국 판매용 전기차에는 지금처럼 중국산 부품으로 만든 배터리를 쓰기로 했다.

폭스바겐은 이미 중국 최대의 배터리 제조업체 궈쉬안의 지분 26%를 보유한 상태다.

독일 내 첫 배터리 공장을 만들려는 파워코가 궈쉬안과 협력에 나서는 등 중국으로부터의 독립을 위해 중국의 노하우에 의존하는 상황이기도 하다.

슈말 CTO와 파워코의 대표 프랑크 블로메는 원료 확보를 위해 캐나다와 중·남미, 인도네시아, 호주 등 세계 곳곳을 다녔다.

이들은 리튬이 풍부하게 매장된 남미의 여러 리튬 공급업체와 접촉했고, 브라질에서 리튬을 채굴하는 나스닥 상장 캐나다 업체 시그마리튬과도 만난 것으로 전해졌다.

파워코는 이미 올해 3월 캐나다 온타리오에 자사 최대 규모의 배터리 공장을 짓겠다는 계획을 발표한 바 있다.

온타리오에 공장 부지를 선정한 이유는 이곳이 리튬·니켈·코발트 산지에 가까워서기도 하지만, 유사시 유럽연합(EU)과 캐나다 간의 무역협정으로 배터리 원료를 빠르게 수급할 수 있어서라고 슈말은 설명했다.

니켈의 경우 세계 최대 생산국 가운데 하나인 인도네시아에 직접 투자하는 방식으로 장기적인 공급망을 확보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슈말은 코발트의 최대 생산지지만 채굴 과정에서 인권 침해와 아동 학대 등 문제가 제기되고 있는 코발트콩고민주공화국(민주콩고)에서는 광산 운영업체에 투자하기보다 장기 계약을 하고, 더 길게는 코발트 없이 배터리를 만드는 기술을 연구할 계획이라고 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