돼지농장에 반도체공장 시스템 도입 "도심에서도 악취 없을 것"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예산군 오가면 호은2농장 "축산업, 주민과 상생해야"
"앞으로 축산업은 지역 주민과 상생하지 않으면 지속해서 발전할 수 없다고 생각합니다.
"
충남 예산 한 돼지 농가가 악취 방지를 위해 반도체 공장의 공조시스템까지 도입해 눈길을 끌고 있다.
20일 예산군 등에 따르면 박경원(43) 호은2농장 대표는 지난달 오가면에 지상 2층·2천997㎡ 규모의 돼지 농장을 신축했다.
밖에서만 봤을 때는 이 건물을 돼지 농장이라고 생각하기는 쉽지 않다.
박물관이나 관공서 같은 느낌을 준다.
박 대표는 15년 전 축산업을 하는 아버지 일을 도우며 돼지를 키우기 시작했다.
2019년에는 재래식 돈사를 인수해 본인 사업을 시작했다.
재래식 돈사에서는 악취가 많이 발생해 주민들의 민원이 잇따랐고, 돼지가 질병에도 노출되기 쉬웠다.
새 시스템을 갖춘 농장이 필요하다고 판단한 박 대표는 지난해 8월부터 총 65억원을 투자해 최신 환기 시설 등을 갖춘 농장을 지었다.
오피스텔이나 병원 등 일반 건물을 설계할 때 사용하는 프로그램을 이용해 공기 흐름을 파악, 환기가 잘되도록 배기구 위치를 설계한 뒤 건축을 시작했다.
보통 일반 축사는 건물을 지어놓은 뒤 환기시설을 설치하다 보니, 한계가 있다.
반도체 공장에서 사용하는 하향식 환기 방식이 사용됐다.
이렇게 농장 내 체류하는 암모니아 가스 농도를 5∼8ppm 수준으로 줄였고, 여기에 악취 저감 시설을 설치해 농장 외부 암모니아 농도가 1ppm 수준밖에 되지 않는다는 게 박 대표의 설명이다.
도심 한복판에서 돼지농장을 하더라도 악취 민원이 발생하지 않는 수준이라고 그는 강조했다.
박 대표는 "그동안 축산업이 양적 성장에만 몰두해 달려오다 보니 악취 민원이 잇따랐고, 지역 주민과 상생하지 못했다"며 "앞으로 축산업은 지역 주민과 상생하지 않으면 지속해서 발전할 수 없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축산업이 언제까지 사람들에게 기피 시설, 비호감 이미지여야 하는지 의문이 들었다"며 "다른 누가 아닌 먼저 솔선수범해야겠다고 생각해 시작했다"고 덧붙였다.
그는 돼지 품종 중 하나인 듀록 종돈을 직접 관리하고 개량하는 독보적인 기술력도 가지고 있다.
국내에서는 아직 생소하지만, 이베리코와 함께 3대 돼지 품종으로 꼽힌다.
그동안 듀록이 새끼를 덜 낳고, 어미 돼지 포유 능력이 떨어지다 보니 국내 농가가 선호하는 품종은 아니었다.
박 대표는 7년 넘는 연구 끝에 모든 생산성을 끌어올려 듀록의 단점을 많이 극복한 상태다.
현재 이 농장에 듀록 100마리를 사육하고 있으며, 앞으로 350마리가 더 이사 올 예정이다.
그는 "축산업이 이제는 양적 성장보다는 질적 성장을 해야 할 때"라며 "소비자들이 국산 돼지를 외면했던 상황을 스스로 반성하고, 새로운 기술과 설비 도입으로 축산업의 새 지평을 열어나가야 한다"고 강조했다.
/연합뉴스
"
충남 예산 한 돼지 농가가 악취 방지를 위해 반도체 공장의 공조시스템까지 도입해 눈길을 끌고 있다.
20일 예산군 등에 따르면 박경원(43) 호은2농장 대표는 지난달 오가면에 지상 2층·2천997㎡ 규모의 돼지 농장을 신축했다.
밖에서만 봤을 때는 이 건물을 돼지 농장이라고 생각하기는 쉽지 않다.
박물관이나 관공서 같은 느낌을 준다.
박 대표는 15년 전 축산업을 하는 아버지 일을 도우며 돼지를 키우기 시작했다.
2019년에는 재래식 돈사를 인수해 본인 사업을 시작했다.
재래식 돈사에서는 악취가 많이 발생해 주민들의 민원이 잇따랐고, 돼지가 질병에도 노출되기 쉬웠다.
새 시스템을 갖춘 농장이 필요하다고 판단한 박 대표는 지난해 8월부터 총 65억원을 투자해 최신 환기 시설 등을 갖춘 농장을 지었다.
오피스텔이나 병원 등 일반 건물을 설계할 때 사용하는 프로그램을 이용해 공기 흐름을 파악, 환기가 잘되도록 배기구 위치를 설계한 뒤 건축을 시작했다.
보통 일반 축사는 건물을 지어놓은 뒤 환기시설을 설치하다 보니, 한계가 있다.
반도체 공장에서 사용하는 하향식 환기 방식이 사용됐다.
이렇게 농장 내 체류하는 암모니아 가스 농도를 5∼8ppm 수준으로 줄였고, 여기에 악취 저감 시설을 설치해 농장 외부 암모니아 농도가 1ppm 수준밖에 되지 않는다는 게 박 대표의 설명이다.
도심 한복판에서 돼지농장을 하더라도 악취 민원이 발생하지 않는 수준이라고 그는 강조했다.
박 대표는 "그동안 축산업이 양적 성장에만 몰두해 달려오다 보니 악취 민원이 잇따랐고, 지역 주민과 상생하지 못했다"며 "앞으로 축산업은 지역 주민과 상생하지 않으면 지속해서 발전할 수 없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축산업이 언제까지 사람들에게 기피 시설, 비호감 이미지여야 하는지 의문이 들었다"며 "다른 누가 아닌 먼저 솔선수범해야겠다고 생각해 시작했다"고 덧붙였다.
그는 돼지 품종 중 하나인 듀록 종돈을 직접 관리하고 개량하는 독보적인 기술력도 가지고 있다.
국내에서는 아직 생소하지만, 이베리코와 함께 3대 돼지 품종으로 꼽힌다.
그동안 듀록이 새끼를 덜 낳고, 어미 돼지 포유 능력이 떨어지다 보니 국내 농가가 선호하는 품종은 아니었다.
박 대표는 7년 넘는 연구 끝에 모든 생산성을 끌어올려 듀록의 단점을 많이 극복한 상태다.
현재 이 농장에 듀록 100마리를 사육하고 있으며, 앞으로 350마리가 더 이사 올 예정이다.
그는 "축산업이 이제는 양적 성장보다는 질적 성장을 해야 할 때"라며 "소비자들이 국산 돼지를 외면했던 상황을 스스로 반성하고, 새로운 기술과 설비 도입으로 축산업의 새 지평을 열어나가야 한다"고 강조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