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지부 표본조사 결과 전국에 152만명…전체 인구의 3%
청년 정서불안, 중장년 경제, 노인은 건강문제 "가장 힘들다"
고독사 위험군 1인가구 5명 중 1명꼴…50대가 가장 '위험'
홀로 생활하다 숨진 뒤 뒤늦게 발견되는 '고독사' 위험군이 전체 인구의 3%나 된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1인 가구만 보면 5가구 중 1가구 이상이 위험군인 것인데, 위험군이 차지하는 비중은 50대 중년층이 노년층보다 오히려 높았다.

보건복지부는 18일 '제1차 고독사 예방 기본계획'(2023~2027년)을 발표하면서 이런 내용의 고독사 위험군 설문조사 결과를 공개했다.

한국리서치에 의뢰해 작년 11~12월 1인 가구 9천471명에 대해 ▲ 1주일간 사회적 교류 횟수 1회 이하 ▲ 하루 평균 식사 횟수 1회 이하 ▲ 몸이 아플 때 도와줄 수 있는 사람 없음 등 10개의 질문을 한 뒤 10점 만점 중 4점 이상을 고위험군으로 선별했다.

복지부는 이런 표본조사 결과를 토대로 고독사 위험군이 전국에 152만5천명 있는 것으로 추정했다.

이는 전체 인구의 3%, 1인 가구의 21.3%에 해당한다.

고독사 위험은 고령층보다 중장년층, 특히 50대에서 가장 높았다.

고령자일수록 사망률이 높지만 고독사 위험은 중장년이 더 컸다.

1인 가구 중 고위험군이 차지하는 비중은 50대가 33.9%로, 70대 이상(16.2%)의 배 이상이었다.

60대(30.2%), 40대(25.8%)도 70대보다 높았고, 19~29세는 9.7%, 30대는 16.6%이었다.

이런 결과는 작년 12월 복지부가 발표한 '2022년 고독사 실태조사' 결과와 유사하다.

2021년 기준 고독사 발생 건수는 50대가 1천1명(29.6%)으로 가장 많았고 60대가 981건(29.0%)으로 그 다음이었다.

반면 70대(421건·12.5%)와 80대 이상(203건·6.0%) 연령대는 중장년층보다 적었다.

복지부 관계자는 "중장년층이 건강관리와 가사노동에 익숙지 않은 점과 실직·이혼 등으로 삶의 만족도가 급격히 감소할 수 있다는 사실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된다"고 설명했다.

이번 조사에서 1인 가구 중 중장년층(40~60대)은 '경제적 문제'(39.1%)를, 청년층(19세~30대)은 '정서불안'(42.8%)을, 노인층(70대 이상)은 '건강문제'(30.4%)와 '정서불안'(27.9%)을 가장 어려운 점으로 꼽았다.

복지부는 이날 발표한 기본계획에서 세대별 맞춤형 서비스를 통해 고독사 위험을 줄이겠다고 밝혔다.

청년층에 대해서는 정서·취업 지원을, 중장년층에는 건강관리·안전·가사·재취업·사회관계 관련 서비스를 각각 제공하고 노인층에게는 의료·건강관리·돌봄 서비스를 강화할 계획이다.
고독사 위험군 1인가구 5명 중 1명꼴…50대가 가장 '위험'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