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직 英총리로는 대처 이후 27년만…"서방, 대만에 확고 지지 보여야" 연설 예정
트러스 前 영국총리 대만 방문…중국 "사리사욕 챙기기" 비판(종합2보)
리즈 트러스 전 영국 총리가 16일 대만을 방문했다고 대만 중앙통신사가 보도했다.

전직 총리이자 현직 하원의원 신분인 트러스는 16일 저녁 타오위안공항에 도착해 우자오셰 대만 외교부장의 영접을 받으면서 닷새 동안의 방문 일정에 들어갔다.

트러스 전 총리는 퇴임 후인 1992년과 1996년 대만을 찾았던 마거릿 대처 이후 전직 영국 총리로는 27년 만에 대만을 방문했다.

트러스 전 총리는 17일 타이베이에서 '대만:자유와 민주주의의 최전선에서'라는 제목으로 연설할 예정이며, 대만 정부 고위 인사와 정·재계·학계 인사들과의 회동 일정도 잡혀 있다고 대만 외교부는 밝혔다.

대만 외교부는 트러스 전 총리와 차이잉원 대만 총통과의 면담 예정이 잡혀 있는지 여부는 언급하지 않았으나, 관례에 비춰 성사될 전망이다.

트러스는 17일 연설에서 서방이 중국을 달래지 말고 대만에 대한 확고한 지지를 보여줘야 한다고 촉구할 예정이라고 로이터 통신이 보도했다.

언론에 사전 배포된 연설문 발췌본에 따르면 트러스 전 총리는 이날 대만 프로스펙트 재단에서 "중국 정권의 공세에 맞서 대만과 같은 자유민주주의 국가를 지원해야 한다"라고 연설할 예정이다.

또 "자유와 민주주의 없이는 다른 것은 아무것도 없다"며 "기후변화와 같은 문제에 대해 중국과 협력할 수 있다는 생각에 집착하는 서방 인사들이 여전히 너무 많다"고 비판의 목소리를 내기로 했다.

그는 또한 중국 공산당과 정부 후원을 받는 공자학원을 영국에서 즉시 폐쇄하고, 이를 홍콩과 대만이 운영하는 문화센터로 대체하라고 촉구할 방침이다.

트러스 전 총리는 지난해 9월 취임 후 내놓은 대규모 감세안으로 전 세계 금융시장을 혼란에 빠뜨리는 실정을 범한 뒤 49일 만에 낙마한 바 있다.

그는 영국 집권 보수당 내에서도 대(對)중국 정책에서 매파적 입장을 대표한다고 로이터는 설명했다.

그의 대만 방문은 영국과 중국 간 관계가 수십 년 만에 최악으로 치달은 가운데 나온 것으로, 이번 연설이 양국 관계를 더 악화할 위험이 있다고 로이터는 짚었다.

유럽이 양안(兩岸·중국과 대만) 갈등과 관련해 거리를 둬야 한다고 보는 에마뉘엘 마크롱 프랑스 대통령과 대비되는 자세이기도 하다.

중국은 즉각 반발했다.

왕원빈 중국 외교부 대변인은 17일 정례브리핑에서 트러스 전 총리를 '한물간 정치인'(過氣政客)이라고 칭하며 "그가 대만 문제로 존재감을 과시하는 것은 개인의 정치적 사리사욕을 챙기기 위한 것"이라고 비난했다.

이어 "영국 각계는 트러스의 이번 조치에 대해 악평을 쏟아내며 이번 여행이 보여주기이자 최악의 '인스타그램 외교'라고 한다"며 "이 무책임한 의원은 지금 그의 나라에 또 다른 상처를 주고 있다"고 밝혔다.

왕 대변인은 대만 집권당인 민진당 당국을 향해서는 "국민의 세금으로 영국 역사상 가장 단명한 총리의 비위를 맞추고 있다"며 "이것은 결코 대만을 사랑하는 행동이 아니라 대만을 파는 행동"이라고 주장했다.

아울러 "외부 세력과 결탁해 독립을 도모하고 도발하려는 시도는 반드시 실패로 끝날 것"이라고 덧붙였다.

주영 중국대사관도 16일(현지시간) 홈페이지에 대변인 성명을 내고 트러스 전 총리의 대만 방문에 대해 "위험한 정치쇼"라고 깎아내리면서 "영국에 위해만을 가할 것"이라고 비판했다.

이어 "우리는 관련 영국 정치인이 자기 잘못을 바로잡고 '대만 독립' 분리주의 세력을 비호하고 지지하는 행위를 중단할 것을 촉구한다"라고 밝혔다.

중국 공산당 기관지인 인민일보 계열 환구시보는 17일 자 사설에서 "영국 정부는 비정부 인사의 개인적 여행이라고 하지만 전직 총리이자 현직 의원이라는 트러스의 특수한 신분에 비춰볼 때 영국 정부와 분명하게 선을 그을 수가 없으며, 야기되는 후과와 대가는 (영국 정부가) 함께 감당해야 할 것"이라고 썼다.

영국 정치권 일각에서도 비판의 목소리가 나왔다.

같은 보수당 의원인 알리시아 키언스 하원 외교위원장은 영국 일간 가디언에 "'인스타그램 외교'의 가장 나쁜 예"라고 지적하며 이번 방문이 대만 문제를 더 심각하게 만들 수 있다고 말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