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북아역사재단, 학술대회…"초등교육, 공공성 상실·치열한 경쟁 낳기도"
식민지 조선 교육까지 흔든 일제…"제한적·차별적으로 교육"
일제강점기 당시 일본 제국주의의 침탈이 전방위적으로 이뤄진 가운데 교육 역시 매우 제한적이고 차별적으로 이뤄졌다는 전문가 지적이 나왔다.

김광규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위원은 27일 서울 서대문구 동북아역사재단에서 열린 '일제강점기 교육정책의 연구 방향' 학술대회에서 "일제강점기의 초등교육이 굴절·왜곡되면서 공공성 실종, 여성 배제, 교원의 교육력 약화라는 결과를 가져왔다"고 밝혔다.

김 연구위원은 "일제 강점 후 조선총독부는 조선에서 교육의 목적이 일본어를 잘하고 성실 근면하게 노동에 종사하는 '충량한 신민 육성'이라는 것을 분명히 했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그는 "학교 설립과 경영에 들어가는 경비를 수요자에게 떠넘김으로써 교육의 공공성이 상실됐고, 학교 부족으로 인해 입학 단계에서부터 치열한 경쟁을 해야만 했다"고 비판했다.

안홍선 서울대 교수는 중등교육과 관련, "고등보통학교(중학교)는 상급학교 진학을 위한 입시 위주의 경쟁 교육으로 되고 말았고, 여자고등보통학교는 극히 소수의 여성을 대상으로 '현모양처' 양성을 목표로 하는 교육이 됐다"고 분석했다.

그는 "(이런 체제는) 1920년대 이후부터는 일본과 동일하게 운영됐으나 지극히 제한된 교육 기회로 인해 식민지 조선에서의 중등교육은 일본에서와는 사뭇 다른 양상으로 전개됐다"고 짚었다.

안 교수는 특히 남자 대상의 일반교육, 여자 대상의 일반교육, 실업교육 등 세 부분으로 나뉜 형태의 제도가 "해방 이후 교육 조건의 근본적인 변화에도 불구하고 오랫동안 유지됐다"며 향후 정책적 과제를 고민할 필요가 있다고 봤다.

고등교육 분야를 담당한 김태웅 서울대 교수는 경성제국대학을 중심으로 한 교육정책을 비판적으로 분석했다.

이번 학술대회는 일본 제국주의의 한반도 침탈과 억압적인 식민 지배와 관련한 실태를 밝히기 위한 '일제 침탈사' 편찬 사업의 일환으로 열렸다.

초등·중등·고등 교육 분야 연구총서를 집필한 연구진이 참여했다.

재단 관계자는 "일제가 식민지 조선에 시혜를 베풀었다는 이른바 '식민지시혜론'의 중요한 근거로 교육이 거론되나, 식민지 조선에서의 교육은 오히려 매우 제한적이고 차별적이고 억압적이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