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동성명서 우크라 연대 강조…대만해협 관련 "강압적·일방적 현상 변경 반대"
[한미정상회담] 우크라·대만 문제에 한목소리…'행동하는 동맹' 시동
윤석열 대통령은 26일(현지시간) 조 바이든 대통령과 백악관 한미정상회담을 통해 글로벌 이슈에서도 미국과 보폭을 맞추는 모습을 보였다.

자유민주주의, 인권 등 가치를 기반으로 '행동하는 동맹'으로서 우크라이나 전쟁, 대만 해협 문제 등 민감한 국제적 현안에서 보다 분명하게 목소리를 내기 시작했다는 해석이 나온다.

한미 정상은 이날 회담 후 발표한 공동성명에서 러시아의 침략을 규탄하며 우크라이나에 대한 지원 의지를 피력했다.

공동 성명에는 "양 정상이 러시아의 행위를 가장 강력한 언어로 규탄했으며 제재 및 수출통제 조치를 통해 책임을 물었다"는 내용이 담겼다.

동시에 우크라이나 재건 노력을 포함해 정치, 안보, 인도, 경제 지원 제공 의사를 밝혔다.

양 정상은 공동 기자회견에서도 우크라이나 문제를 나란히 언급하며 지원 의지를 재확인했다.

다만, 회담을 앞두고는 회담장에서 우크라이나에 대한 '무기 지원'이 논의될 수 있다는 관측도 나왔지만, 양 정상은 명시적으로 언급하지 않았다.

중국이 영유권 분쟁 중인 대만해협·남중국해 이슈도 공동 성명에 포함됐다.

한미 정상은 성명에서 "역내 안보와 번영의 필수 요소로서 대만해협의 평화와 안정 유지의 중요성을 재확인했다"며 "불법적인 해상 영유권 주장, 매립지역의 군사화 및 강압적 행위를 포함하여 인도·태평양에서의 그 어떤 일방적 현상 변경 시도에도 강력히 반대했다"고 밝혔다.

사실상 중국을 겨냥한 내용이라 볼 수 있다.

지난해 5월 서울 한미정상회담 공동성명보다 더 선명한 메시지로 해석된다.

이런 입장은 양국이 '글로벌 동맹'으로 진화하기 위해 필수적이라는 게 윤 대통령의 인식이다.

윤 대통령은 소인수회담 시작 전 모두발언에서 "가치 동맹인 한미 동맹이 세계 평화와 번영을 위협하는 위기 극복에 핵심적인 역할을 할 수 있다"며 "오늘 바이든 대통령과의 정상회담은 한미동맹이 글로벌 동맹으로 새 출발 하는 역사적인 이정표가 될 것"이라며 의미를 부여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