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유라시아 사무 특별대표 통해 중재 시도…우크라도 신임 주중대사 임명
젤렌스키 "길고 뜻깊은 통화, 관계발전 동력"…러 "中노력 주목, 우크라가 대화거부"
시진핑, 젤렌스키와 첫 통화…"우크라 등에 정부대표 파견"(종합2보)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26일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과 전화통화를 했다.

작년 2월 우크라이나 전쟁 발발 이후 시 주석이 젤렌스키 대통령과 직접 소통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중국 관영 중앙TV(CCTV)에 따르면 시 주석은 우크라이나 위기에서 중국의 핵심 입장은 협상을 권하고 대화를 촉구하는 것이라면서 "대화와 협상은 실행가능한 유일한 출구"라고 강조했다.

시 주석은 지난 2월 중국이 우크라이나 전쟁 1년째를 맞아 정치적 해결에 대한 입장을 발표한 사실을 상기하며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안보리) 상임이사국이자 책임있는 대국으로서 정전과 평화를 위한 노력을 계속하겠다고 말했다.

또한 시 주석은 중국 정부 유라시아업무 특별대표를 우크라이나 등에 파견해 정치적 해결을 위해 각측과 소통할 것이라고 밝혀 중재 외교에 나설 것임을 시사했다.

아울러 시 주석은 "핵 문제에서 각측이 냉정과 자제를 유지해야 한다"며 이번 전쟁이 핵전쟁으로 비화해서는 안 된다는 견해를 밝혔다.

그와 더불어 시 주석은 중국이 우크라이나 위기의 제조자가 아니며, 당사자도 아니라고 강조했다.

젤렌스키 대통령은 통화 내용에 대한 구체적 설명 없이 "시 주석과 길고 뜻깊은 통화를 했다"고 트위터를 통해 밝혔다.

또한 "나는 중국 주재 우크라이나 대사 임명뿐만 아니라 이 통화가 양국 관계 발전의 강력한 동력이 될 것으로 믿는다"고 덧붙였다.

통화 직후 젤렌스키 대통령은 파블로 리아비킨 전 전략산업부 장관을 신임 주중 대사로 임명했다고 우크라이나 대통령실이 밝혔다.

CCTV는 젤렌스키 대통령이 현재 우크라 전쟁에 대한 자신의 견해를 밝히고, 중국이 제공한 인도주의적 원조에 사의를 표했다고 전했다.

또 평화 회복을 위해 중국이 외교적 수단을 통해 위기 해결에 역할을 하는 것을 환영한다고 말했다고 CCTV는 전했다.

시 주석은 지난달 러시아를 국빈 방문하면서 그 직후 젤렌스키 대통령과 통화함으로써 양측 사이에서 중재를 시도할 것이라는 관측이 나왔으나 두 정상의 소통은 미뤄졌다.

그간 젤렌스키 대통령은 시 주석과의 소통에 열린 입장임을 누차 밝혀왔다.

한편 중국 측은 이번 통화 관련 설명 자료에서 시 주석이 '약속에 응해(잉웨·應約)' 젤렌스키 대통령과 통화했다고 발표했다.

중국에서 '약속에 응해'라는 표현은 상대측이 요청해서 통화나 회담이 이뤄졌을 때 쓰는 표현으로, 우크라 측의 통화 요청에 시 주석이 응함으로써 통화가 이뤄졌다고 밝힌 것이다.

러시아는 중국의 중재 노력을 환영하는 한편 우크라이나와 서방이 협상을 거부하고 있다는 입장을 되풀이했다.

로이터, 스푸트니크 통신에 따르면 러시아 외무부는 성명에서 "협상 과정을 만들고자 노력하는 중국 측의 자세를 주목한다"고 평가했다.

아울러 우크라이나와 서방을 향해 "고의로 비현실적 요구를 담은 최후통첩을 제시함으로써 협상에 대한 합의와 정치·외교적 사태 해결을 위한 모든 합리적 제안을 거부하고 있다"며 "어떤 평화 요구도 미국의 꼭두각시들에 의해 받아들여지기는 힘들 것"이라고 비난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