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7월 '포괄적 동반자' 10주년 맞아 격상 기대…中 견제 강화 포석
현지 인권 상황·중국과의 교역 등 변수로 작용할 듯
블링컨 미 국무장관, 베트남 방문…양국 '전략적 동반자' 될까
토니 블링컨 미 국무장관이 14일(현지시간) 베트남을 방문하면서 조만간 양국 관계가 '전략적 동반자'로 격상될지 주목된다.

현지 언론과 외신 등에 따르면 블링컨은 이날 하노이에 도착한 뒤 다음날 고위급 인사들과 차례로 만날 예정이다.

그는 하노이에서 미국이 새로 짓는 대사관 기공식에도 참석한다.

바이든 행정부의 국무장관이 베트남을 방문하는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앞서 재작년 8월 25일 카멀라 해리스 부통령은 하노이에서 응우옌 쑤언 푹 당시 국가주석과 만나 양국이 남중국해에서 중국의 위협에 공동으로 대처하자고 제안한 바 있다.

미국은 이번 방문을 계기로 양국 관계가 기존의 포괄적 동반자에서 전략적 동반자로 격상되기를 바라고 있다.

인도태평양 지역에서 중국의 위협을 견제하기 위해서는 베트남과의 관계 증진이 군사안보 전략적 측면에서 반드시 필요하다는 판단에서다.

미국과 베트남은 지난 1994년 7월 국교를 정상화한 이후 2013년 7월 정상회담에서 '포괄적 파트너십'을 체결했다.

또 지난달에는 조 바이든 미 대통령과 베트남 권력 서열 1위인 응우옌 푸 쫑 서기장이 통화를 하면서 양국 관계 증진에 관해 의견을 나눴다.

따라서 블링컨이 이번 베트남 방문을 성공적으로 마무리하면 올해 7월에 포괄적 파트너십 체결 10주년을 맞아 양국 관계가 전략적 동반자로 격상될거라는 기대도 나온다.

전략국제문제연구소(CSIS)의 동남아 담당 선임연구원인 머레이 히버트는 "양국 관계 증진이 군사적 협력을 비롯해 미국의 무기 수출 확대로 이어질 수 있다"고 전망했다.

그러나 다른 국가에 맞서기 위한 외국 군대의 주둔을 불허하는 베트남 정부의 방침 때문에 실현이 어려울 수도 있다고 그는 덧붙였다.

또 베트남이 영유권 분쟁 지역인 남중국해에서 중국의 위협을 심각하게 간주하고 있긴 하지만, 중국과의 교역 등 경제적 관계를 고려할 수 밖에 없다는 점도 제한 요인 중 하나다.

이와 함께 미국을 비롯한 국제사회가 눈여겨보고 있는 베트남의 인권 상황도 양국 관계 증진에 걸림돌로 꼽힌다.

국제인권단체 휴먼라이츠워치에 따르면 베트남 당국은 지난 2018년 이후로 시민운동가 등 최소 163명에 대해 반국가 활동 혐의로 유죄 판결을 내렸다.

베트남 법원은 이틀 전에도 유명 시민운동가인 응우옌 란 탕(48)에 대해 반국가 활동 혐의로 징역 6년형을 선고했다.

그러자 미 국무부는 곧바로 성명을 내고 "인권 침해 실태를 개선해야 양국의 파트너십이 가장 높은 단계까지 올라갈 수 있다"고 베트남 당국을 비판했다.

베트남 공안은 페이스북에서 15만명의 팔로워를 두고 있는 탕에게 반국가적인 내용의 선전물을 제작하고 유포한 혐의를 적용했다.

휴먼라이츠워치도 블링컨이 베트남 지도자들에게 표현과 평화로운 집회의 자유를 보장하도록 촉구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이와 관련, 대니얼 크리튼브링크 국무부 동아태 차관보는 "블링컨 장관이 인권 이슈를 다룰 것으로 확신한다"고 말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