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월부터 16차례 면담했으나 합의점 못찾아"
행정대집행 가능성도 시사
서울시 "이태원 유족에 더는 대화요청 안 한다"
서울시가 이태원 참사 유가족과의 대화를 더는 요청하지 않기로 했다고 10일 밝혔다.

이동률 서울시 대변인 이날 정례브리핑에서 "2월 16일부터 4월 6일까지 16차례에 걸쳐 면담했으나 끝내 유가족 측에서는 시의 제안을 수용하지도 대안을 제시하지도 않아 합의점을 찾지 못했다"며 이렇게 말했다.

이 대변인은 "더 이상 대화는 의미가 없을 것으로 보고 추가적인 대화 일정을 잡지 않았다"고 덧붙였다.

시가 이태원 유가족과의 대화 중단을 공식적으로 발표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이태원 참사 159일째인 이달 5일 시민 추모대회에서 유가족 측이 서울광장 분향소를 계속 유지하면서 진상규명을 촉구하겠다는 의지를 밝히면서 시도 더는 합의를 위한 대화의 의미가 없다고 판단한 것으로 보인다.

시는 지난달 7일 정례브리핑에서 4월 1∼5일 서울광장에 공식 분향소를 새로 설치해 함께 운영하자고 제안했으나 유가족 측이 받아들이지 않았다.

항구적인 추모공간 조성 역시 유가족 측이 구체적으로 응답하지 않았다고 시는 주장했다.

이 대변인은 " 시의 (공동 분향소) 제안은 가족을 잃은 유족의 아픔 공감하고 치유하려는 시의 고민이 들어 있다"면서도 "참사 159일 성명을 보면 서울광장 분향소를 자진 철거할 의사는 전혀 없는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그는 "협의가 무산되고 자진 철거 의사가 없다고 확인된 만큼 무한정 기다리긴 쉽지 않다"며 "이제 봄철이고 서울광장에서도 여러 프로그램이 예정돼 시민에게 (서울광장을) 온전히 돌려줘야 할 때"라고 강조해 행정대집행 가능성을 시사했다.

행정대집행 시한을 두고는 "계고는 이미 나간 상황이라 정해놓은 것은 없다"고 답했다.

앞서 시는 2월 6일 '분향소를 8일 오후 1시까지 철거하라'는 내용의 2차 계고서를 전달했다.

유가족이 원할 경우 만날 수 있느냐는 질문에는 "유가족 측 대리인이 추가 논의안을 가지고 제안하면 만날 수는 있겠지만 시는 대화를 요청하진 않을 것"이라고 답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