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폭행사망' 윤일병 유족, 인권위에 '사인조작 규명' 진정(종합)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군사망사고진상규명위원회 항의 방문해 재조사도 촉구
2014년 군부대 내 구타·가혹행위로 사망한 고(故) 윤승주 일병 유가족은 9주기를 하루 앞둔 6일 군의 사망 원인 은폐·조작에 대한 진실을 밝혀달라고 국가인권위원회(인권위)에 진정을 제기했다.
윤 일병 어머니 안미자 씨는 이날 서울 중구 인권위 앞에서 연 기자회견에서 "군사망사고진상규명위원회(진상규명위)가 진정 접수 뒤 장장 6년 가까이 조사하고도 가해자에게 속은 군이 '만두 먹다 질식사했다'고 발표했다는 게 결론"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군인권센터가 사건 전모를 폭로해 사망의 진실은 밝혀졌지만 누가, 왜, 무슨 목적으로 우리 승주의 죽음을 둔갑하려고 한 건지 대한민국은 궁금하지 않은가"라고 따져 물었다.
군인권센터에 따르면 대통령 소속 진상규명위는 2월6일 군이 윤 일병 사망 사건을 축소했거나 사인을 은폐·조작했다고 보기 어렵다고 결론 내렸다.
구타당하다 사망한 윤 일병이 만두를 먹다가 목이 막혀 죽은 것으로 육군이 실수나 착오로 판단했다는 것이다.
유가족은 이에 불복해 2월22일 이의신청을 제기했고 진상규명위는 3월27일 재조사를 의결했다.
유족은 윤 일병 사망 직후 육군이 부검의를 앞세워 사인을 '기도 폐쇄에 의한 질식사'로 조작하고 군검찰이 이를 받아들여 가해자 죄명을 살인이 아닌 '상해치사'로 기소했다며 은폐 의혹을 수년간 제기해왔다 이날 기자회견에는 성폭력 피해 뒤 숨진 고 이예람 중사, 급성 백혈병에 걸렸다가 제때 치료받지 못해 숨진 고 홍정기 일병 등의 유족도 함께했다.
인권위는 지난해 7월 군 인권침해와 차별행위를 전담하는 기구인 군 인권보호관을 출범했다.
윤 일병 사건을 계기로 필요성이 제기됐고 이 중사 사건으로 사회적 요구가 커진 데 따른 것이다.
유가족들은 인권위에서 기자회견을 마친 뒤 중구 포스트타워에 있는 진상규명위를 항의 방문해 송기춘 위원장, 탁경국 상임위원과 면담했다.
이들은 앞선 조사에서 유가족이 제출한 증거자료가 제대로 반영되지 않았다며 재조사를 통한 철저한 진상규명을 촉구했다.
/연합뉴스
윤 일병 어머니 안미자 씨는 이날 서울 중구 인권위 앞에서 연 기자회견에서 "군사망사고진상규명위원회(진상규명위)가 진정 접수 뒤 장장 6년 가까이 조사하고도 가해자에게 속은 군이 '만두 먹다 질식사했다'고 발표했다는 게 결론"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군인권센터가 사건 전모를 폭로해 사망의 진실은 밝혀졌지만 누가, 왜, 무슨 목적으로 우리 승주의 죽음을 둔갑하려고 한 건지 대한민국은 궁금하지 않은가"라고 따져 물었다.
군인권센터에 따르면 대통령 소속 진상규명위는 2월6일 군이 윤 일병 사망 사건을 축소했거나 사인을 은폐·조작했다고 보기 어렵다고 결론 내렸다.
구타당하다 사망한 윤 일병이 만두를 먹다가 목이 막혀 죽은 것으로 육군이 실수나 착오로 판단했다는 것이다.
유가족은 이에 불복해 2월22일 이의신청을 제기했고 진상규명위는 3월27일 재조사를 의결했다.
유족은 윤 일병 사망 직후 육군이 부검의를 앞세워 사인을 '기도 폐쇄에 의한 질식사'로 조작하고 군검찰이 이를 받아들여 가해자 죄명을 살인이 아닌 '상해치사'로 기소했다며 은폐 의혹을 수년간 제기해왔다 이날 기자회견에는 성폭력 피해 뒤 숨진 고 이예람 중사, 급성 백혈병에 걸렸다가 제때 치료받지 못해 숨진 고 홍정기 일병 등의 유족도 함께했다.
인권위는 지난해 7월 군 인권침해와 차별행위를 전담하는 기구인 군 인권보호관을 출범했다.
윤 일병 사건을 계기로 필요성이 제기됐고 이 중사 사건으로 사회적 요구가 커진 데 따른 것이다.
유가족들은 인권위에서 기자회견을 마친 뒤 중구 포스트타워에 있는 진상규명위를 항의 방문해 송기춘 위원장, 탁경국 상임위원과 면담했다.
이들은 앞선 조사에서 유가족이 제출한 증거자료가 제대로 반영되지 않았다며 재조사를 통한 철저한 진상규명을 촉구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