온라인 7.8%·오프라인 8.0% 동시 증가
백화점·대형마트 매출 모두 늘어
외부활동 확대 등에 2월 유통 매출 전년비 8% 증가
외부 활동 확대와 지난해 오미크론 변이 확산의 기저효과로 지난달 온라인과 오프라인 유통업체의 매출이 동시에 8%가량 증가했다.

28일 산업통상자원부가 발표한 2월 주요 유통업체 매출 동향에 따르면 온라인 부문 매출(6조3천억원)은 작년 대비 7.8%, 오프라인 부문(6조7천억원)은 8.0% 각각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온·오프라인 매출 전체로는 작년보다 7.9% 증가했다.

상품군별로 보면 패션·잡화(13.9%)와 서비스·기타(14.4%) 매출은 늘었고 가전·문화(-2.3%)와 생활·가정(-0.4%)은 줄었다.

오프라인 부문은 대외 활동 증가로 의류·스포츠 상품 판매가 호조세를 보이면서 대형마트와 백화점, 편의점 등 모든 업태의 매출이 증가했다.

외부활동 확대 등에 2월 유통 매출 전년비 8% 증가
작년 같은 시기 오미크론 변이 확산으로 오프라인 매장의 매출이 축소됐고, 이른 설 명절로 2월 영업일수가 늘어난 점도 영향을 미쳤다.

대형마트는 가전·문화(-19.4%) 매출이 크게 줄었지만 의류(14.5%)·스포츠(10.9%)·잡화(10.8%)·식품(12.0%)이 모두 늘어 전체 매출은 5.8% 증가했다.

백화점도 외부 활동 증가와 봄 신상품 조기 세일에 힘입어 매출이 8.6% 늘었다.

특히 여성 캐쥬얼(30.1%), 아동·스포츠(18.1%), 여성 정장(15.8%)을 포함한 의류·화장품 매출이 크게 확대됐다.

준대규모 점포는 가공식품(5.2%)과 농수축산(3.8%) 상품 판매가 늘면서 매출이 3.2% 증가했다.

이에 따라 점포당 매출도 모든 업태에서 증가세를 기록했다.

편의점은 근거리·소액 쇼핑 수요 확대로 즉석식품(24.3%), 생활용품(16.7%) 등 전 품목의 매출이 호조세를 보여 10.2% 증가했다.

온라인 부문은 해외 여행 수요가 늘고 공연·행사가 활성화되면서 전체적인 매출이 성장했다.

상품군별로는 서비스·기타(19.8%)와 패션·의류(12.2%)·화장품(11.2%)의 매출이 크게 늘었고 아동·유아(-2.7%)와 가전·전자(-0.6%)는 감소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