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과 일본, 역사 인식의 간극
[신간] 한성신보가 기획한 근대 한국의 표상
▲ 한성신보가 기획한 근대 한국의 표상 = 장영숙 지음.
1895년 2월 17일 일본인 아다치 겐조(安達謙藏)에 의해 서울에서 창간돼 일제의 조선 침략 과정에서 선전 도구 역할을 한 한성신보를 분석한 책이다.

책에 따르면 한성신보는 일본 정부 정책에 호응하는지에 따라 고종을 평가하며 조선이 '문명국가 일본의 지도 아래에' 놓여 있다는 이미지를 구축하려고 시도했다.

고종에 대한 학계의 분석과 평가는 중층적이고 복잡해서 한마디로 평가하기 어려운 측면이 있음에도 철저하게 일본 정부의 입장에 서서 보도했다는 것이다.

예를 들어 고종이 일본이 원하는 방향대로 개항이나 개화 정책을 추진한 시기에는 '전례 없는 개화 군주'라고 칭찬했고 명성황후 시해 사건 이후에는 '간신배에 둘러싸인 무능한 군주'라는 프레임을 씌웠다.

지은이는 이 외에도 한성신보가 일본 정부의 외교·군사 노선을 추종하고 선전하면서 조선 침략의 도구로 기능했다는 점을 여러 사례를 바탕으로 조명했다.

역사공간. 316쪽.
[신간] 한성신보가 기획한 근대 한국의 표상
▲ 한국과 일본, 역사 인식의 간극 = 와타나베 노부유키(渡辺延志) 지음.
일제 강점기에 강제 동원된 한국인에게 일본 기업이 배상해야 한다는 한국 대법원 판결을 둘러싼 한일 갈등을 계기로 양국 역사 인식의 대립이 어디서 연유하는지를 탐구한 결과물이다.

아사히(朝日)신문 기자 시절부터 역사 자료 발굴에 천착한 지은이는 일본의 한반도 식민지 지배는 불법이었다는 대법원 판결의 전제를 일본이 왜 수용하지 못하는지를 규명하기 위해 사료를 찾아 나선다.

이런 과정에서 그는 1911년까지 이어진 일본군의 의병 학살 등 잘 알려지지 않은 가해의 역사에 주목한다.

'조선폭도토벌지' 2천852회의 전투에서 일본군이 1만7천779명의 '폭도'를 살육했지만, 일본군 전사자들은 136명에 불과했다는 집계가 실려 있었다.

저자는 이 밖에도 1923년 간토(關東)대지진 이후에 벌어진 조선인 학살을 비롯해 조선인의 억울함이 풀리지 않고 있는 사건들을 자료를 토대로 지적한다.

그는 이런 어두운 역사가 일본 주류 무대에서 사라진 것은 날조와 조직적인 처분 등의 결과라고 진단하고서 "현재 상황이 바람직하지 않다고 생각될 때 먼저 필요한 것은 자신을 돌아보는 것"이라고 일본인의 역사 직시를 우회적으로 촉구한다.

삼인. 268쪽.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