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반도체 굴기' 칭화유니 전 회장 조사내용 보니…괘씸죄 적용?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기율·감찰위 8개월 조사 후 검찰 이송…기소 등 사법 처리 수순
중국 '반도체 굴기' 상징기업으로 통했던 칭화유니(紫光集團)의 창업자인 자오웨이궈 전 회장이 공산당 중앙기율위원회·국가감찰위원회(기율·감찰위)의 8개월 조사 끝에 검찰로 넘겨졌다.
21일 블룸버그통신과 중국 경제매체 차이신 등에 따르면 작년 7월 기율·감찰위로 연행돼 조사받아온 자오 전 회장이 지난 20일 검찰로 이송돼 조만간 기소될 예정이다.
통상 중국에선 공산당 당적을 가진 고위 인사의 부정부패 사건의 경우 기율·감찰위가 임의로 조사해 혐의를 파악하고 나서 처벌 수순에 들어간다.
기율·감찰위는 전날 자체 웹사이트에 자오 전 회장의 혐의 내용을 공개했다.
그러나 통상 기율·감찰위가 경제계 거물 조사를 마칠 경우 공개 내용에 거액의 뇌물 수수 등 굵직한 경제 범죄가 적시되는 것과는 달리 두드러진 게 별로 없다.
구체적인 내용을 거론하지 않은 채 부패와 배임 혐의가 거론됐고, 칭화유니가 자오 전 회장의 친구와 친척이 경영하는 기업에서 용품 등을 비싸게 샀다며 "국유기업을 사적인 영토로 삼았다"는 내용이 적힌 정도다.
이 때문에 자오 전 회장이 부정부패 혐의보다는, 다른 이유로 조사 대상이 된 것이 아니냐는 지적도 있다.
특히 중국 당국이 10년에 가까운 '반도체 굴기' 노력을 기울였음에도, 이를 주도한 국유기업의 수장이 처참한 실패를 한 데 대한 질책과 '군기 잡기' 차원이라는 관측도 나온다.
실제 중국은 2025년까지 반도체 자급률을 70%까지 높인다는 목표를 세우고, 이와 관련된 60조원대 국가 펀드인 '대기금'(공식 명칭은 국가집적회로산업투자펀드)을 2014년 출범시켜 선진국 따라잡기를 시도해왔다.
'중국의 반도체 항공모함'으로 불린 칭화유니가 대기금의 지원 대상이 됐음은 물론이다.
자오 전 회장은 시진핑 국가주석의 모교인 칭화대 전자공학과를 졸업한 뒤 인터넷, 부동산, 에너지 등 여러 사업을 하다가 2009년 칭화대가 운영하는 학교 기업인 칭화유니 최고경영자(CEO)로 영입돼 회사 경영 방향을 반도체 중심으로 돌렸다.
칭화유니는 칭화대 등의 전폭적인 지원을 받아 스마트폰용 SoC(시스템온칩), 메모리 반도체, 반도체 패키징 및 테스트 등을 망라하면서 '반도체 항모단'의 체계를 갖췄다.
그러나 무리한 대출과 채권 발행 등으로 자금을 조달한 뒤 대형 인수·합병(M&A)으로 유망기업을 삼켜가다가 결국 유동성 위기에 빠졌고, 2018년부터 '돌려막기'조차 어려운 상황에 부닥친 끝에 2020년 11월 디폴트(채무불이행) 상태에 빠졌다.
칭화유니의 디폴트는 반도체 굴기를 꿈꿨던 중국에 큰 충격을 줬다.
중국 지방정부와 국유기업들까지 나서 칭화유니에 투자하는 '애국심'을 보였으나, 끝내 일어나지 못해 파산구조조정 절차를 거쳐 주인이 바뀌었다.
자오 전 회장이 기율·감찰위에 연행된 시점은 작년 7월 16일이다.
이어 같은 달 관련 고위층으로 조사가 확대됐다.
샤오야칭 공업정보화부장 이외에 대기금의 딩원우 총재, 화신투자관리의 루쉰 전 총재와 가오쑹타오 전 부총재 등도 수개월째 기율·감찰위의 조사를 받고 있다.
화신관리투자는 대기금 운용을 전담하는 국유기업이다.
대기금은 '중국판 TSMC'인 SMIC(中芯國際·중신궈지)와 '중국판 퀄컴'인 시스템온칩(SoC) 설계사 UNISOC(쯔광잔루이<紫光展銳>) 이외에 칭화유니 계열 메모리 업체 YMTC(長江存儲), 상하이화훙(上海華虹) 등에 집중적으로 투자했다.
이런 가운데 자오 전 회장이 파산 절차 과정에서 중국 당국에 정면으로 반기를 든 점이 '괘씸죄'로 작용했다는 관측도 있다.
그는 2021년 12월 지나친 헐값 매각에 반대한다는 공개 성명을 낸 바 있다.
/연합뉴스
중국 '반도체 굴기' 상징기업으로 통했던 칭화유니(紫光集團)의 창업자인 자오웨이궈 전 회장이 공산당 중앙기율위원회·국가감찰위원회(기율·감찰위)의 8개월 조사 끝에 검찰로 넘겨졌다.
21일 블룸버그통신과 중국 경제매체 차이신 등에 따르면 작년 7월 기율·감찰위로 연행돼 조사받아온 자오 전 회장이 지난 20일 검찰로 이송돼 조만간 기소될 예정이다.
통상 중국에선 공산당 당적을 가진 고위 인사의 부정부패 사건의 경우 기율·감찰위가 임의로 조사해 혐의를 파악하고 나서 처벌 수순에 들어간다.
기율·감찰위는 전날 자체 웹사이트에 자오 전 회장의 혐의 내용을 공개했다.
그러나 통상 기율·감찰위가 경제계 거물 조사를 마칠 경우 공개 내용에 거액의 뇌물 수수 등 굵직한 경제 범죄가 적시되는 것과는 달리 두드러진 게 별로 없다.
구체적인 내용을 거론하지 않은 채 부패와 배임 혐의가 거론됐고, 칭화유니가 자오 전 회장의 친구와 친척이 경영하는 기업에서 용품 등을 비싸게 샀다며 "국유기업을 사적인 영토로 삼았다"는 내용이 적힌 정도다.
이 때문에 자오 전 회장이 부정부패 혐의보다는, 다른 이유로 조사 대상이 된 것이 아니냐는 지적도 있다.
특히 중국 당국이 10년에 가까운 '반도체 굴기' 노력을 기울였음에도, 이를 주도한 국유기업의 수장이 처참한 실패를 한 데 대한 질책과 '군기 잡기' 차원이라는 관측도 나온다.
실제 중국은 2025년까지 반도체 자급률을 70%까지 높인다는 목표를 세우고, 이와 관련된 60조원대 국가 펀드인 '대기금'(공식 명칭은 국가집적회로산업투자펀드)을 2014년 출범시켜 선진국 따라잡기를 시도해왔다.
'중국의 반도체 항공모함'으로 불린 칭화유니가 대기금의 지원 대상이 됐음은 물론이다.
자오 전 회장은 시진핑 국가주석의 모교인 칭화대 전자공학과를 졸업한 뒤 인터넷, 부동산, 에너지 등 여러 사업을 하다가 2009년 칭화대가 운영하는 학교 기업인 칭화유니 최고경영자(CEO)로 영입돼 회사 경영 방향을 반도체 중심으로 돌렸다.
칭화유니는 칭화대 등의 전폭적인 지원을 받아 스마트폰용 SoC(시스템온칩), 메모리 반도체, 반도체 패키징 및 테스트 등을 망라하면서 '반도체 항모단'의 체계를 갖췄다.
그러나 무리한 대출과 채권 발행 등으로 자금을 조달한 뒤 대형 인수·합병(M&A)으로 유망기업을 삼켜가다가 결국 유동성 위기에 빠졌고, 2018년부터 '돌려막기'조차 어려운 상황에 부닥친 끝에 2020년 11월 디폴트(채무불이행) 상태에 빠졌다.
칭화유니의 디폴트는 반도체 굴기를 꿈꿨던 중국에 큰 충격을 줬다.
중국 지방정부와 국유기업들까지 나서 칭화유니에 투자하는 '애국심'을 보였으나, 끝내 일어나지 못해 파산구조조정 절차를 거쳐 주인이 바뀌었다.
자오 전 회장이 기율·감찰위에 연행된 시점은 작년 7월 16일이다.
이어 같은 달 관련 고위층으로 조사가 확대됐다.
샤오야칭 공업정보화부장 이외에 대기금의 딩원우 총재, 화신투자관리의 루쉰 전 총재와 가오쑹타오 전 부총재 등도 수개월째 기율·감찰위의 조사를 받고 있다.
화신관리투자는 대기금 운용을 전담하는 국유기업이다.
대기금은 '중국판 TSMC'인 SMIC(中芯國際·중신궈지)와 '중국판 퀄컴'인 시스템온칩(SoC) 설계사 UNISOC(쯔광잔루이<紫光展銳>) 이외에 칭화유니 계열 메모리 업체 YMTC(長江存儲), 상하이화훙(上海華虹) 등에 집중적으로 투자했다.
이런 가운데 자오 전 회장이 파산 절차 과정에서 중국 당국에 정면으로 반기를 든 점이 '괘씸죄'로 작용했다는 관측도 있다.
그는 2021년 12월 지나친 헐값 매각에 반대한다는 공개 성명을 낸 바 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