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남연구원, 조류경보 발령일수 해마다 늘어 대응방법 정책 제언
"장기화하는 낙동강 녹조, 환경대응용수 확보 시스템 구축해야"
해마다 늘어나는 낙동강 녹조와 관련해 환경대응용수 확보와 이를 활용할 시스템 구축이 필요하다는 제언이 나왔다.

경남연구원은 이러한 내용을 담은 연구원 정책소식지(G-BRIEF)를 발간했다고 7일 밝혔다.

정책소식지에는 이용곤 선임연구위원 등이 연구한 '낙동강 녹조대응, 다른 방법에 대한 고민이 필요하다'는 글이 실렸다.

이 글에는 2013년 조류경보제 운영 이후 '경계' 단계 발령이 2013년 60일, 2017년 68일, 2022년 82일로 점차 장기화하고 있고, 이에 따라 2018년 8월 22일 합천창녕보 126만4천52개체/㎖, 2022년 8월 8일 물금·매리지점 44만7천75개체/㎖ 등 기록적인 녹조현상을 보였다고 밝혔다.

이러한 녹조 발생에 대응하기 위해 환경부는 2018년 8월 환경대응용수를 활용한 사례가 있다.

환경대응용수는 댐의 생활·공업·농업용수 등 용수 이용에 문제가 없는 수준에서 비축된 수량 가운데 하천 수질개선에 활용할 수 있는 용수다.

2018년 8월 14일 안동·임하댐과 합천댐에 확보된 환경대응용수 3천655만㎥를 방류해 창녕함안보 녹조 개체수가 방류 전 35만693개체/㎖에서 방류 후 15만4천446개체/㎖로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환경대응용수를 활용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비축이 필요하지만, 조류경보 발령 일수가 많았던 지난해 강수량이 다른 해에 비해 상대적으로 적었다.

환경대응용수를 활용한 조류 저감 대응을 하기에는 저수율이 매우 낮아 환경대응용수 활용에 어려움이 있었다.

이에 따라 굴 패각, 미네랄 클러스터, 열처리 목재를 이용한 친환경 녹조 제거제와 플라즈마, 초음파, 미세기포, 태양광을 이용한 녹조 제거 시스템 등의 대안이 있는 것으로 조사됐으나, 생태독성이나 수생태계 위해성 우려 등으로 현장 적용 사례는 없는 것으로 파악됐다.

연구위원들은 "녹조가 대량 발생할 때 즉시 현장 적용 가능한 조류 제거 방법 마련이 시급하다"며 "경남도는 차단막 등의 조류 유입 저감장치 가동, 독소 및 냄새물질 제거를 위한 정수처리 및 환경기초시설 운영 강화, 수질오염물질 배출원 특별점검, 비점오염원 저감을 위한 신규사업 발굴 등 지속 대응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이어 "환경부는 녹조 대발생 관심·경계 단계에서 적극적으로 환경대응용수를 확보하고 적용할 수 있는 시스템을 구축하고, 현장 적용이 가능한 안전한 녹조 제거기법 발굴 및 적용, 녹조 전문연구기관 설립 등을 고려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연합뉴스